> ─┼★STB 상생방송★┼─ :: '최치원' 태그의 글 목록

신선의 길을 추구한 신라의 천재 최치원(도교,선도, 태백일사)

상생문화연구소 김현일 연구위원

 

 

태모 고수부님은 증산도 교단을 처음 세우신 분이다. 증산 상제님이 어천 한 2년 뒤인 1911년의 일이었다. 성도들이 태모님에게 교 이름을 무엇으로 정할지 여쭈었다.

고수부님은 “천하를 통일하는 도인데 아직 때가 이르니 ‘선도仙道’라고 하라. 후일에 진법이 나오면 알게 되리라.”고 하였다. (《증산도도전》 11:29)

 

선도라는 것은 신선을 추구하는 길이 아닌가? 또 태모님은 “내가 하는 일은 다 신선이 하는 일이니 우리 도는 선도니라”고도 하면서 “너희들은 앞으로 신선을 직접 볼 것이요, 잘 닦으면 너희가 모두 신선이 되느니라.”고 증산도가 신선되는 것을 추구하는 도임을 분명히 하였다.

 

신선이란 어떤 존재인가?

보통 사람들과는 달리 몸과 마음을 닦아 신과 같은 존재가 된 사람을 의미할 것이다. 옛 한국에는 이러한 신선이 되려고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중국의 도교도 이러한 한국의 신선문화에서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중기에 기록된 《태백일사》에 의하면 중국 도교의 시조라고 일컬어지는 황제 헌원에게 도를 전해준 사람이 배달국의 자부 선생이었다. 자부 선생은 헌원에게 《삼황내문경》이라는 책을 전해주어 헌원으로 하여금 마음을 닦아 의로운 정신으로 돌아가게 하였다고 한다.

 

한국의 신선 사상은 신라의 화랑도에서 볼 수 있듯이 삼국시대에도 그 명맥이 살아 있었지만 고려에 들어서는 크게 쇠퇴하였다. 그러다가 조선에 와서는 조선 단학파로 이어져 많은 선인들을 배출하였다.

 

 

 

고운 최치원(857-?)은 이러한 한국의 선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그는 뛰어난 학자로도 유명한데 고려 이전까지 가장 많은 글을 남겨놓은 사람이다. 중국에서 쓴 글들로 이루어진 《계원필경桂苑筆耕》, 신라에 돌아와 왕명으로 편찬한 네 선사들의 전기를 기록한 《사산비명四山碑銘》, 그리고 기타 다양한 여러 글들을 모은 《고운문집孤雲文集》이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온다.

 

학자이자 관료, 정치가로서의 그의 생애는 고려시대에 편찬된 《삼국사기》 열전에 기록되어 있다. 그의 명성은 중국 사서인  《신당서》 예문지藝文志에 그의 저서가 소개되어 있을 정도이다. 그에 의하면 《사륙집四六集》 1권과 《계원필경》 20권이 있다고 하였다. 《사륙집》은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학자로서의 고운은 유교는 말할 것도 없고 불교와 도교에 대해서도 폭넓은 지식을 갖고 있었다. 당나라 과거시험에 합격하였으니 유교경전을 통달했던 것은 물론이고 불교에 대해서도 무척 해박하였는데 《四山碑銘》을 비롯하여 그가 쓴 여러 고승들의 전기에서 잘 드러난다. 중국의 도교에 대해서도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가 상관으로 모시고 있던 회남절도사 고변高騈을 위해 쓴 여러 재사齋詞들이 남아 있다. 고변은 도교를 무척 좋아하여 주변에 도사들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그가 몰락한 것도 도교에 탐닉하였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

 

최치원은 당나라에서 16년을 살다가 28세의 나이로 귀국하였다. 그는 신라에 온 후 우리나라에도 도교와 비슷한 사상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우리나라에 현묘한 도가 옛적부터 있었고 이를 풍류風流라 한다면서 유불선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의 말에 따르면 당시 《선사仙史》라는 책이 있었는데 거기에 풍류의 원천에 대한 서술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었다고 한다.

 

《선사》는 지금은 전해지지 않아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풍류의 자세한 내용을 알지 못한다. 그러나 풍류가 백성을 교화하는 도로서 충효와 겸손, 선행을 가르쳤던 것은 분명하니 풍류는 결코 현실도피적인 사상은 아니었다. 신라가 풍류를 화랑도의 조직이념으로 삼은 것은 풍류의 그러한 현세적 성격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최치원이 말한 것과는 달리 한국의 선도가 중국 도교에서 연원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17세기 초 한무외라는 사람이 지은 《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이 그러한 주장을 담고 있는데 19세기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도 이러한 주장이 그대로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주장에 의하면 신라 말의 김가기, 최승우, 그리고 승려 자혜가 중국도교 8대선인 가운데 으뜸가는 인물이었던 종리권鍾離權으로부터 도를 배웠으며 그 가운데 최승우는 그 도를 최치원에게 전했고 이 도는 조선 중기의 한무외, 남궁두 등에게까지 전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치원 자신은 중국의 도교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었으나 이러한 도의 전수에 대한 언급은 최치원의 저술들에서 찾아볼 수 없다. 《해동전도록》의 전반적인 서술이 객관적인 서술이라고 보기는 힘든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그 기록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망설여진다. 이 책은 후대의 조선 단학파들이 자신들의 연원을 중국 도교와 연관을 짓기 위해 만든 문헌이라 하기 때문이다.

 

《해동전도록》과 비슷한 시기인 조선 중기에 편찬된 도가서 《청학집》에는 그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선도는 환인으로부터 내려온 것으로 환웅과 단군을 거쳐 후대에 전해졌다고 한다. 우리나라 선도는 후일 여러 파로 갈라졌는데 이러한 선파의 하나가 물계자勿稽子 파였다.

 

물계자는 3세기 초의 인물로 신라가 포상팔국과 치른 전쟁에서 공을 세운 사람이었지만 전공을 인정받지 못해 불만을 가졌던지 산으로 들어가 나오지 않았다. (《삼국사기》 물계자전) 《청학집》에 의하면 진평왕 때의 선인인 대세와 구칠, 그리고 후대의 불교승려 도선과 원효 모두 물계자의 유파였다고 한다. 그리고 최치원 역시 이 유파에 속하는 인물이었다.

 

━━━━⊱⋆⊰━━━━

 

조선의 선도가 한국 고유의 사상이었다는 것은 고려 시대의 기록들에서도 확인된다. 고려 중기의 시인 이규보는 우리나라의 선풍仙風은 중국의 주나라나 한나라, 그리고 가까이는 당나라와 송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한국 고유의 것이라 하였다.

 

최치원은 귀국해서는 신라 조정의 명을 받들어 여러 가지 문한을 작성하는 일을 하였다. 894년에는 진성여왕에게 신라의 정치와 사회를 개혁하기 위한 10조의 개혁안을 올렸지만 정적들의 견제로 실현되지 못하여 그는 지방 태수직으로 밀려났다. 여러 군의 태수를 역임하던 그는 수년 뒤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가솔을 이끌고 가야산 해인사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책과 자연을 벗하고 살았는데 민간에 전해지는 전설에 의하면 그는 그곳에서 신선이 되어 승천하였다고 한다.

 

고운은 신선이 되기 위해 수련을 하였는데 어떠한 수련을 하였을까?

도교문헌을 연구한 조선시대 학자 이규경에 의하면 최치원은 중국에서 수련법을 배워왔으나 귀국해서는 잊어버려 그의 외삼촌인 현준으로부터 새로운 수련법을 배웠다고 한다.(《五洲衍文長箋散稿》 2권 경사편, 도장류) 그 수련법을 ‘가야보인법伽倻步引法’이라 하였는데 정확히 어떠한 수련법인지는 모르나 그 이름으로 짐작하건대 가야산 일대에서 도를 닦던 사람들 사이에서 내려오던 고유한 수련법이 아닌가 싶다. 최치원은 당나라에 들어가 중국의 유교와 불교, 도교를 배웠지만 신라에 돌아와서는 우리 고유의 선도를 접하고 그 수련법을 배웠던 것이다.

 

뜻과는 달리 흘러가는 신라의 정치에 관여하기를 포기하고 그는 가야산으로 들어가 신선 같은 삶을 살았다. 당시 신라는 중앙의 권력이 붕괴되고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정치적 혼란이 극심한 상태였다. 이러한 혼란의 시기에 그는 전국의 명승지를 떠돌며 자연을 벗삼아 시를 짓고 신선과 같은 삶을 살았다. 지금도 가야산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곳곳에 그의 행각에 대한 전설이 많이 남아 있다. 가야산 해인사 입구의 홍류동 계곡 바위에 그가 지은 시가 새겨져 있다. 

 

가야산 독서당에 부침(題伽倻山讀書堂)

바위 사이로 우르르 콸콸 온 산을 포효하니 지척의 사람 말도 못 알아듣겠네. 이러쿵저러쿵 시비 따지는 소리 들릴까 봐서 일부러 물소리로 산을 둘렀네.   

 

 

증산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생존의 비밀, 한민족과 증산도, 천지성공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께 생존의 비밀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

최치원과 천부경, 풍류란 무엇인가 #STB상생방송

 

 

 

 

나라에 지극히 신령스러운 도가 있으니 풍류라 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조 난랑비서문

 

그 교를 창설한 내력은 선사에 자세히 실려 있으니, 실은 삼교를 포함하여

군생을 접화하는 것이다. 

 

들어와서 가정에 효도하고 나가서 
나라에 충성하는 것은 공자의 뜻과 같은 것이요.

무위로 일을 처리하고 말없이 교를 행함은 
노자의 종지와 같은 것이요.

악한 일을 하지 않고 선한 일을 받들어 
행하는 것은 석가의 교화와 같은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맨 위 동영상을 클릭하여 확인해보세요^^

최치원과 천부경, 풍류란 무엇인가 #STB상생방송

 

우주변화원리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증산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생존의 비밀, 한민족과 증산도, 천지성공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께 생존의 비밀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
<천부경>은 어떻게 전해져 왔는가? 

 천부경 유래와 천부경 해석



<천부경>의 유래

 


 


<환단고기>에 따르면 <천부경>은 인류의 시원국가며 우리 민족의 뿌리인 환국으로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온 글이다.
그 후 약 6,000년 전 배달국 시대에 환웅천황이 천부경을 신지혁덕에게 명하여 녹도문자로 기록하게 했다.
녹도문자는 우리나라 최초의 문자로, 사슴 발자국 모양을 따서 만든 것이다.

 

그런 이유로 환웅천황을​“<천부경>의 비조” 로 꼽기도 한다.

 그러다 단군조선에 이르러 전자篆字로 전하게 됐다.

<환단고기> 중 <천부경> 81자.

 


최치원이 전자를 한문으로 옮겨훗날 신라의 대학자 고운 최치원이 옛 비석에 전자로 새겨진 천부경을 보고 한문으로 풀이하여 서첩을 만들어 세상에 전했다.

고운의 문집인 <최문창후전집>에 실려 있는 <고운선생사적>에는 “태백산에 단군의 전비가 있었는데 그 글을 읽기가 몹시 힘들고 해석하기가 어려웠다. 고운이 그것을 번역했다.” 라고 기록돼 있다.

 


<태백일사>와 묘향산 석벽본최치원 이후 천년의 세월을 지나 조선조 중종 때 일십당주인 이맥李陌(1455-1528)이 <태백일사>에 천부경을삽입하여 그 명맥을 이었다.

한편 1911년 <태백일사>를 포함한 5종의 사서를 망라하여 <환단고기>를 편찬한 운초 계연수(1836-1920)가 그 뒤 1916년 묘향산 석벽에 새겨진 천부경을 발견하고 이를 탁본하여 세상에 전했다. 최치원이 한문으로 번역하여 새겨놓은 것이라고 한다. 이를 ‘묘향산 석벽본’ 이라고 통칭한다.

 



이상은 대개 <태백일사>의 기록을 바탕으로 약술한 것이다.

 다만 최치원이 묘향산의 한 바위에 <천부경>을 새겼다는 말은 없다는 사실을 특기해 두어야 한다.

‘묘향산 석벽본’ 과 <태백일사>의 그것은 전문이 일치한다.

<최문창후전집>과 노사본<천부경>의 다른 본本으로는 고운의 문집인 <최문창후전집> 뒤편에 실려 있는 것과 노사蘆沙(기정진 1798-1876)본이 있다.

전자는 고운의 친필이 아니고 1926년 후손인 최국술이 <단전요의檀典要義>에 소개된 것을 문집재편집시에 <고운선생사적>에 수록한 것이다.


 ‘묘향산 석벽본’ 과는 7개의 글자가 다르다.

그런데 일곱 자 모두음은 같아 누군가 암송하던 것을 전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후자인 노사본은 조선말의 유학자 노사 기정진 계통으로 전해진 것으로 지금도 적지않게 유포돼 있다.

석벽본과의 차이는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의 ‘지地’가 ‘중中’ 으로 돼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세 본이 그 출처를 최치원에 두고 있음은 공통적이다.

<농은 유집본>에 전하는 갑골문 <천부경> 

 



이밖에 한자의 초기 형태인 갑골문으로 기록된 <천부경>이 전한다.
고려 말 육은六隱 중 한 사람인 농은農隱 민안부閔安富(1328-1401)의 ‘농은 유집본遺集本’ 이다.
역시 묘향산 석벽본과 다른 글자가 눈에 띄는데, ‘석삼극​析三極’에서 ‘석析’이 ‘신新’, ‘삼三’ 이 ‘기氣’, ‘운삼사運三四’에서 ‘운運’이 ‘충衷’으로 돼 있다. 그렇지만 모두 81​자인 것은 변함이 없고 전체적으로 뜻은 달라지지 않는다. 이 가운데 <태백일사>에 실리고 묘향산 석벽에 발견된 ​<천부경>이 가장 많이 인용된다.

 



<환단고기>와 <단기고사>에 나오는 <천부경>

<천부경>은 환국 이래 국가적으로 매우 중시된 경전이었다. 그것은 나라 다스림의 경전인 동시에 기도문이었으며 또한 삶의 규범이었다. <환단고기>에서는 여러 대목에서 <천부경>을 언급하고 있고 <단기고사>에서도 <천부경>이 언급돼 있다. 

* 환웅천황께서... 백성에게 교화를 베푸실 때, <천부경>을 풀어 설명하시고 <삼일신고>를 강론하여... 큰 가르침을 베푸셨다. <삼성기>
* (11세 단군은) 모든 유희가 끝난 뒤에 누대의 전각에 오르시어 <천부경>을 논하고 <삼일신고>를 강론하시고...<단군세기>
* (대진국 4세 문황제께서) 이듬해(738)에 태학을 세워 <천부경>과 <삼일신고>를 가르치고...([태백일사]<대진국본기>)
* 시조의 천부경을 참고하여 보면... 이것이 일시무시인데, 일이 무시에서 시작된 것입니다.(제2세 단군 부루에게 석자장石子丈이 아뢰는 말에서, <단기고사> 제2세 부루)

또한 앞 기록의 출처인 <태백일사>에서는 목은 이색(1328-1396), 복애伏崖 범세동范世東 등이 <천부경> 주해를 남겼다고 밝히고 있다.

 



김시습의 <징심록추기>와 <천부경>

<태백일사>를 지은 이맥과 거의 동시대 사람이며, 생육신 가운데 하나인 김시습(1435-1493)은 <징심록추기澄心錄追記​>에서, 우리 역사상 왕권과 결부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금척金尺에 천부경이 새겨져 있음을 전한다.

 

금척이 <천부경>의 원리를 본 따 제작됐으며 <천부경>을 영원히 보존하기 위해 금을 사용했고 무오류성을 지닌, ​우주 만물의 척도로서의 자(尺)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는 금척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내가 일찍이 금척지를 읽으니, 그 수리가 매우 어려워 알수가 없었다.

 

대저 그 근본은 곧 천부의 법이다... 그형상은 삼태성이 늘어선 것 같으나 머리에는 불구슬을 물고 네 마디로 된 다섯 치다. 그 허실의 수가 9가 되어​ 10을 이루니, 이는 천부의 수다.



정조 때 삼성사 제문과 <천부경>

또 정조 때 구월산 삼성사에서 올린 치제문致祭文에는 “천부보전天符寶篆이 지금에 이르러서는 사실적 물증이없으나​, 그 신성神聖이 이로 인해 서로 전수한 것이 동국역사에서 일컬어지고 있음이 그 몇 해이런고.”(중요민속자료 제218-10호 치제문) 라고 기록돼 있다.

 

황해도 구월산 삼성사에는 환인, 환웅, 단군의 삼위 성조 위패가모셔져 있는데 고려와 조선의 역대 제왕들이 이곳에서 치제를 드렸다.

 

정조가 올린 제사 가운데 낭송되었을, 위구절에는 <천부경>을 천부보전으로 일컫고 있다. 보전은 존귀한 전문이란 뜻이다.

 

치제문은 천부보전의 사실적인 물증은 없지만, 신성이 서로 그것을 계승했다는 기록이 우리나라 역사에서 수천 년을 전해 내려오고 있다고밝히고 있다.


천부보전에서 전篆 자는 ‘전자 전’, ‘글씨 전’ 으로 고대 한자체 가운데 하나를 가리키는데, 돼지 발자국같이 동글동글한 형태로 돼 있다. 큰 비석의 상부에서 이런 형태의 한자체를 자주 볼 수 있으며 도장, 도장 글에 쓰인다.

​이 점에 주목하여 정조 때에는 <천부경>을 바위나 석벽 등에 전자체 형태로 새겨져 전래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이런 지적은 단군조선에 이르러 <천부경>을 전자篆字로 전하고, 최치원이 옛 비석에 전자로 새겨진 <천부경>을 보고 한문으로 옮겼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매우 흥미롭다.

이상 <황경선, <천부경과 신교사상>, 19-32쪽 요약> 

<< 천부경 전문 내용과 해석 >>

 

우주변화의 원리와 태을주 수행, 증산도의 진리에 대해서 궁금하신가요?

여러분들께 진리를 알려드리기 위해서 소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오른쪽 무료소책자 신청 게시판을 클릭하셔서 신청하시거나

010-9659-9576
번으로 이름,주소,생년월일을 문자로 보내주시면 발송해드려요!

휴대폰으로 보고 계신분들은 왼쪽 상단 메뉴버튼의

소책자 신청하는 곳을 눌러주세요~!

 

 

Posted by 북두협객
,

환단고기 위서론 그 진실을 파헤쳐본다. 광주 환단고기 북콘서트 (2)

 

 <환단고기 위서론 그 진실은? (2)편 동영상보기>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환단고기 위서론 그 핵심과 진실에 대해서 논해 보도록하겠습니다.

1911년에 계연수 선생이 출간한 환단고기 원본과

1949년에 오형기가 정서한 원본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첨삭과 원본에 대한 존재여부가 위서논쟁을 초래한 것은

대단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는데요.

 

 

그렇다면 환단고기 위서논쟁에서 가장 뜨거운 논란거리는 무엇일까요?

 

 

논쟁1.오형기가 정서하고 1979년에 출간한

광오이해사본의 원래이름이 '환단휘기'다?

 

논쟁2. '환단고기'에 수록된 '태백일사'는 본래 '태백유사' 다?

 

논쟁3 .계연수 선생이 '천부경'의 발견과정에 대해 쓴

'계연수기서'의 진위 해석.

 

 

계연수 선생은 한암당 이유립 선생에게 환단고기를

다음 경신년(1980년)에 세상에 내놓으라 는 유지를 남겼습니다.

그래서 한암당은 환단고기를 널리 펴내는 대신에

 

먼저 환단시대의 상고역사를 세상에 알리기 위하여

환단휘기를 내기로 결심하고,

환단휘기를 1971년에 출간하게 됩니다.

 

 

한암당 선생이 이처럼 환단시대의 역사를 밝히는

환단휘기를 기획하고 그 첫째권을 발간한 것은

계연수 선생이 1911년 간행한 '환단고기' 초판본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또한 환단고기 두번째 논쟁인 태백유사에 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태백유사라 쓴것은 조선 중종때 이맥이 지은 태백일사와 같은 책입니다.

태백일사를 태백유사라는 이름으로 바꾸어서 표현한 것이죠.

유사(遺史)와, 일사(逸史)는 의미가 같습니다.

 

 

한암당 선생은 다음 경신년까지 기다렸다가 환단고기를 세상에 내놓으라고 한

스승계연수의 간곡한 유지를 받들려고 애썼습니다.

 

한암당 선생은 가슴 속에 일제의 칼날에 사지가 잘려

압록강에 수장된 스승의 참혹한 죽음을 기억하며,

 

약속의 날까지 환단고기라는 책명과 환단고기에 포함된 일부책의 정확한

이름을 감추려고 했습니다. 이는 어찌보면 당연한 행동이라고 볼 수 있죠.

 

세번째 논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천부경이 태백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비로소 세상에 나온 것으로 잘못 알고 있습니다.

 

계연수 선생은 1899년에 천부경요해라는 책을 발간하고

1911년에 이미 천부경 전문이 수록된 환단고기를 발간한 바 있는데요.

 

 

선생은 1917년 1월에 단군교에 보낸 '계연수기서'에서

고운 최치원필적의 천부경 석각을 발견한 경위를 이렇게 기록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진을 참고하시죠.

 

계연수 선생은 이 서신에서

묘향산에서 천부경 고각을 발견하기 전에 이미

스승에게서 천부경을 전해듣고 원본내용을 잘 알고 있었음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위서론자들이 주장하는 '천부경'을 묘향산에서

처음 발견한 내용으로 말한 것이 아니라, 최고운의

친필로 새겨진 천부경 고각의 발견 경위를

확신에 차서 서술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죠.

 

만약 계연수 선생이 천부경을 전혀 몰랐다면,

어찌 고각에 새겨진 천부경을 보고 천부경임을 알았으며,

두눈이 번쩍 떠져서 절하고 공경히 무릎을 끓고 읽을수도 없었겠지요.

 

 

그런데 대다수의 '천부경'연구자들은

편지내용을 정밀하게 보지 않아서,

원래 천부경을 전혀 알지 못하던 계연수 선생이 묘향산에서

고각을 발견함으로써 천부경을 알게되었다. 라고 오해하고 있습니다.

 

 

특히 위서론자들은 이런 잘못된 해석에 그치지 않고,

운초가 1899년에 천부경요해를 쓴 것도 거짓이고,

천부경이 들어있는 환단고기를 1911년에 편집, 간행한 사실도 전혀 없었다고

성급히 단정하곤 합니다.

 

 

그렇게 환단고기를 한암당의 완전한 창작물로

주장하는 것이죠.

 

 

환단고기 원본의 발간 사실 자체를 부정하는

위서론이 어찌 정당하다 할 수 있을까요?

 

또한 사료와 정보가 지극히 한정되어 있었떤 지난 세기에,

통일신라시대에서 조선 중기까지 천여년에 걸쳐 여러 저자가

독자적으로 집필한 다섯 문헌을 한암당 개인이 100프로 창작해내는 일이

어찌 가능했을까요?

 

 

한민족의 역사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소책자를 통해 궁금증을 해소해보세요.

진리를 여러분들께 알려드리기 위해서 무료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오른쪽 무료소책자 신청 게시판을 클릭하세요^^*

휴대폰으로 보고 계신분들왼쪽 상단 메뉴버튼의

소책자 신청하는 곳을 눌러주세요~!

Posted by 북두협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