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B 상생방송★┼─ :: '동양철학(우주변화의 원리)'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춘산채지가 달노래. 이태백,노중련

 

본부도장 김남용

 

지난 호 달노래 1부에 이어 본문에 대한 나머지 내용을 말씀드리려 합니다. 이번에는 ‘적벽부赤壁賦’ 등 본문에 인용되거나 관련이 있는 문헌들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 본문 이해 (2)

달노래

한 달이라 여섯 번씩 육육(六六)은 삼십육(三十六)을

월수정기(月水精氣) 갈마노니 토기금정(土氣金精) 길러내어

후천도수(後天度數) 삼십육(三十六)에 중앙어복(中央魚腹) 태을(太乙)이라

존주의리(尊主義理) 높았으니 노중련(魯仲連)의 기상(氣象)이요 

채석강(采石江)에 비쳤으니 이태백(李太白)의 풍류(風流)로다 

소월(少月)동산 적벽강(赤壁江)에 임술지추칠월(壬戌之秋七月) 소동파(蘇東坡)요 

사가보월(思家步月) 청소립(淸宵立)은 두자미(杜子美)의 사향(思鄕)이라

추풍월야(秋風月夜) 초병산(楚兵散)하니 수식(誰識) 계명산월명(鷄鳴山月明)고 

달아 달아 밝은 달아 후천명월(後天明月) 밝은 달아

 

 

━━━━⊱⋆⊰━━━━

 

🌕존주의리尊主義理 높았으니 노중련魯仲連의 기상氣象이요

배꼽은 눈에 드러나 보이는 흔적이요, 이는 필연코 드러나지 않으면서 생명生命의 탯줄과 연결되는 그윽한 자궁子宮이라는 실재實在를 전제합니다. 달노래 저자는 하늘 으뜸이라는 뜻을 지닌 천원天元의 짝을 이루는 대칭적 본원으로서 태을太乙을 설명하려 합니다. 그 그림 그리기가 쉽지 않겠지만, 중국 역사학의 아버지라고 칭송받는 사마천司馬遷(BCE 145?~BCE 91?)의 『사기史記』에서도 정수라고 평가되는 열전列傳의 한 인물을 소개하는 방법을 택합니다.

 

노중련魯仲連(BCE 305?~BCE 245?). 그는 배난해분排難解紛이라는 고사성어를 남긴 주인공입니다. 이 네 글자는 다른 사람의 위험을 없애 주고 어려움을 해결해 준다는 뜻입니다. 그가 활약하던 때는 역사적으로 전국戰國 시대라고 칭합니다. 진晉⋅초楚⋅연燕⋅제齊⋅한韓⋅위魏⋅조趙 일곱 나라가 한 치의 양보도 없이 서로 싸우던 때입니다. 싸운다는 것은 쉬운 말로 서로서로 고만고만하다는 뜻이 아니겠습니까?

 

당시의 여러 제후국은 자기의 세력을 확장하고 상대와의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무력에 의지하기도 하고, 외교적으로 극도의 이간책을 벌이는 등 모든 수단을 다 동원하였습니다. 온갖 권모술수가 판을 치는 이 당시에 노중련은 재물財物이나 녹봉祿俸⋅작위爵位 등을 받지 않고 높은 절의節義를 지킨 은사隱士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어떻게 그것이 가능했을까요?

 

이런 글은 사마천의 『사기열전史記列傳』 원문을 보아야 제격이므로 직접 검색하여 읽어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그 대략적인 내용은 이렇습니다.

 

 

노중련은 지금의 중국 산둥성山東省에 속하는 제齊나라 사람이었는데, 항상 남이 처한 어려움을 물리쳐 주고 분쟁을 풀어 주었는데, 변론辯論에 능했다고 합니다. 특히 쌍방의 문제에 대한 정곡을 찔러서 화해를 성공시켰다 합니다. 그가 역사에 이름을 남긴 사건은 전국 말기(기원전 260년) 조趙나라에 닥친 위기 상황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당시 진나라의 장군 백기는 조나라에 쳐들어와 이른바 장평長平대전에서 포로 45만 명을 참수斬首하고 땅에 파묻었습니다. 그러면서 15세 미만의 아이들 240명을 살려 주었는데 이를 자비(?)를 베푼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45만 참수는 두고두고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항자불살降者不殺이라 했는데 전쟁 포로를 모두 참수하면 항복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이는 우리가 잘 아는 항우와 한신이 등장하는 초한지 시대보다 50년 전의 일입니다.

 

수십만의 장정이 일시에 증발하여 국력이 쇠퇴한 조나라는 이후 30년 뒤에 멸망의 길을 걷는데, 당시 수도 한단邯鄲에는 필사적으로 나라를 지키려는 사람들만 남고 모두 도망한 상태였습니다. 이웃한 나라들도 모두 두려워하여 섣불리 나서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바로 이웃인 위나라에서는 원군을 보내고서도 진군을 하지 못한 채 몸을 사리고 있었습니다.

 

‘조나라가 패망하면 바로 다음은 우리 위나라다.’ 위나라 왕의 속마음을 읽은 신원연新垣衍이란 책사는 꾀를 내어, 사신使臣으로 나서 조나라 실권자인 평원군에게 두 나라(위魏⋅조趙)가 연합하여 진나라 왕을 제왕帝王으로 옹립하자는 제안을 합니다. 국가 존망의 위기에서 평원군은 이 말에 설득당합니다.

 

이때 한단에 있던 노중련은 평원군을 만나 진나라의 흉폭함을 예로 들며, “무도無道한 진秦나라가 천하를 차지한다면, 진나라를 섬겨 치욕을 당하느니 나는 동해로 걸어 들어가 죽겠다(連有踏東海而死耳)”고 맹세합니다. 이어 신원연을 만나 조목조목 진나라의 무도無道함을 설파합니다. 그 논지의 중심에는 유명무실하지만 당시까지 명맥만 유지하고 있던 주周나라에 대한 대의大義를 바로잡고, 제후국인 진나라가 무력을 써서 도덕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과 난세亂世로 몰아가는 것에 대한 강력한 경책警責을 담고 있습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한단을 포위하던 진나라군은 즉시 50리 밖으로 후퇴합니다. 이렇게 조나라는 위기가 해제되자 노중련에게 관직을 내리고자 하였으나 극구 사양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열국지列國志』를 보시기 바랍니다.)

 

그는 말년에 동해東海에 은거했다고 합니다. 그 모든 기록들이 가리키는 것은, 그가 고결高潔한 영혼을 가졌음과 합종合從과 연횡連橫이 치열하게 전개되던 전쟁의 와중에 뛰어들어 사심 없이 고귀한 이상理想을 실천하려 했다는 점입니다. 노중련은 “힘이 곧 정의正義”이던 전국 시대에 존주의리尊主義理를 내세워 전쟁戰爭을 그치고 무고한 생명의 피해를 막은, 태을太乙의 사람 살리는 정신을 실천한 실례實例입니다.

 

🌕채석강采石江에 비쳤으니 이태백李太白의 풍류風流로다

계속해서 태을太乙의 또 다른 의미를 파고들어 볼까요? 이번에는 시선詩仙이라 칭송받는 이태백李太白(본명 이백李白)이 등장하네요. 너무 유명한 인물이라 지면을 통한 소개가 오히려 민망할 수 있는데, 달노래 작자는 도가道家에서 가장 신비롭게 여겼던 태을太乙을 들추어내는 데 이백이 적격이라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그는 어려서부터 도교에 심취해 산중에서 지낸 일도 많았고 더불어 그의 시에 보이는 환상적幻想的 모티브는 달, 강 등을 주제로 한 것이 많았습니다.

 

 

이백은 산둥성 지난齊南의 도관道觀 자극궁紫極宮에 들어가 정식으로 도사道士가 되기도 했는데 이는 이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 후 안사의 난이 일어나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옥중에 유배되는 어려움을 겪습니다. 나중에 술친구, 시詩 친구 등의 도움으로 사면되어 강남으로 돌아옵니다.

 

이참에, 이백은 노중련을 정치적 우상偶像으로 삼았다고 전합니다. 달변가로서 현실 정치에 뛰어들어서 책사策士 역할을 할 때도 사람을 많이 죽이지 않는 방법을 택했다는 점, 그리고 부富와 사익私益을 멀리하고 의로운 일을 중시하는 점, 말년을 유유자적하게 보낸 것 등을 높이 평가했다고 합니다.

 

이백과 노중련은 그런 점에서 많은 공통점이 발견됩니다. 이백은 61세에 안후이성安徽省 당도當塗의 현령이던 이양빙李陽冰에게 의탁하여 빈객賓客으로 있다가 얼마 안 되어 그곳에서 병들어 죽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장강長江 채석기採石磯에서 호수에 비치는 달그림자를 잡으려다가 강에 빠져 익사했다고도 전하죠? 그 진위를 따지기 이전에 그만큼 이백의 삶은 낭만적이고 드라마틱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를 사자성어로 태백착월太白捉月이라고 합니다.

 

이태백은 태백성太白星의 적선謫仙(신선 세계에서 인간으로 귀양을 온 사람)이라고 합니다. 태백성은 금성金星(Venus)이고 우리말로 샛별입니다. 새벽에 환히 비추는 별이라는 뜻이지요. 석가 부처가 계명성啟明星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서 불자들에게 낯익은 별이 바로 태백성입니다. 나중에 이 별 이름이 비결어가 된 사연을 설명드리겠지만, 이미 많은 의미 함축 부분이 노출되었습니다. “태백성의 적선謫仙이 술에 취해 강가에 비친 달그림자를 잡으려 했다.” 그래서? 어떻게 되었다는 것인가? 풍류객 이태백의 채석강에 비친 달은, 사람의 생명을 관장하는 태을을 은유하고 있습니다.

 

🌕소월少月동산 적벽강赤壁江에 임술지추칠월壬戌之秋七月 소동파蘇東坡요

“비결祕訣! 성질 급한 사람 어디 그 비결 공부 제대로 하겠어요? 왜 그리 빙빙 돌리고, 또 그렇게 알아야 하는 것이 많아요?” 자주 듣는 말입니다. A=B, B=C이므로 A=C다. 이렇게 하면 일타강사 소리 들을 터인데, 비결은 그렇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신라 때 진표율사께서 전라도 김제 금산사에 미륵금불을 조성하신 이유가 무엇인지 아십니까? 자신이 태어난 때가 미륵불이 오시는 시간대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거예요. 그래서 ‘아, 내가 때를 못 맞춰 잘못 태어났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겁니다. 하지만 그것이 본인 잘못도 아닌데 한탄만 하면 무얼 하겠습니까. 그래서 자신과 미륵불과의 스토리를 세상에 알린 겁니다. 비결어를 퍼즐처럼 남기는 것이죠. 육장존불능언六丈尊佛能言!!! 앞으로 금산사육장존불이 말을 한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듯이) 인간으로 오신다는 거잖아요. 상제님이 오시면 예언이 이루어진 거지요.

 

또 달노래처럼 일제 치하에서 앞으로 우리 민족을 구원할 절대적 존재가 나타난다! 그걸 알리기도 해야 하지만, 꼭 집어서 알릴 수는 없겠지요. 그러면 그분이 (음해를 받아서) 일을 자유롭게 못 해요. 그래서 비결에는 이리저리 은유가 많습니다. 어설픈 비결은 생명력이 없어 곧 사라집니다. 그건 세상을 어지럽히는 것밖에 되지 않습니다.

 

지금 우리는 달노래라는 주제로 태을太乙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적벽부赤壁賦를 가지고 탐구를 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일단 우리나라에 적벽부는 판소리로 보급되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는 사실과, 여기에는 태을에 대한 많은 정보가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적벽부赤壁賦 전문을 확인하며 살펴보겠습니다.

 

 

 

■ 적벽부赤壁賦

- 중국 송나라 때 문인 소식蘇軾(1036~1101)의 시 -

 

임술지추壬戌之秋 칠월기망七月旣望 소자여객蘇子與客

범주유어적벽지하泛舟遊於赤壁之下. 청풍서래淸風徐來 수파불흥水波不興.

임술壬戌 가을 7월 기망旣望에, 소자蘇子가 객客과 배를 띄워 적벽赤壁 아래서 노니, 맑은 바람은 천천히 불어오고 물결은 일지 않네.

 

거주촉객擧酒屬客 송명월지시 誦明月之詩 가요조지장 歌窈窕之章. 소언 少焉,

월출어동산지상 月出於東山之上 배회어두우지간徘徊於斗牛之間.

술을 들어 객에게 권하며 밝은 달의 시를 읊고 그윽하고 고요한 글월을 노래하니, 조금 지나자 달이 동쪽 산 위에 떠올라 북두성北斗星과 견우성牽牛星 사이에서 거니는구나.

 

백로횡강白露橫江 수광접천水光接天 종일위지소여縱一葦之所如 능만경지망연凌萬頃之茫然.

흰 이슬은 강을 가로지르고, 물빛은 하늘에 닿고 한 잎 갈대 같은 배가 가는 대로 맡기니, 아득한 만경 파랑을 헤치고 가누나.

 

호호호浩浩乎 여빙허어풍如憑虛御風 이부지기소지而不知其所止 표표호飄飄乎

여유세독립如遺世獨立 우화이등선羽化而登仙

넓고도 넓구나, 허공에 기대어 바람을 탄 듯하여 멈출 곳을 알 수 없고,

훨훨 나부껴 세상을 버리고 홀로 서서, 날개 돋아 신선이 되어 오를 듯하여라.

 

어시於是 음주낙심飮酒樂甚 구현이가지扣舷而歌之.

이에 마신 술에 즐거움이 도도하니 뱃전을 두드리며 노래를 불러 본다.

 

가왈歌曰 계도혜난장桂棹兮蘭槳 격공명혜소류광

擊空明兮泝流光 묘묘혜여회渺渺兮予懷 망미인혜천일방望美人兮天一方.

노랫말은 이렇다.

“계수나무 노와 목란木蘭 삿대로 빈 달빛을 쳐서 흐르는 달빛을 거슬러 오르네. 아득한 내 그리움이여, 저 하늘 한 곳에 있는 미인美人을 바라보노라.”

 

객유취동소자客有吹洞簫者 의가이화지倚歌而和之 기성오오연其聲嗚嗚然

여원여모如怨如慕 여읍여소如泣如訴

객 중에 퉁소를 부는 이 있어 노래를 맞춰 화답하니, 그 소리가 슬프고도 슬퍼 원망하는 듯 사모하는 듯, 우는 듯 호소하는 듯,

 

여음요요餘音嫋嫋 부절여루不絶如縷 무유학지잠교舞幽壑之潛蚊 읍고주지이부泣孤舟之釐婦.

여음餘音이 가냘프게 실처럼 이어지며, 깊은 골짜기 물에 잠긴 교룡을 춤추게 하고 외로운 배에 탄 과부를 울게 하네.

 

소자蘇者 추연정금愀然正襟 위자이문객왈危坐而問客曰 하위기연야何爲其然也?

소자蘇子(소동파)가 슬피 옷깃을 여미며 고쳐 앉아, 객에게 묻기를 “어찌 그리 슬픈가?” 하니,

 

객왈客曰 월명성희月明星稀 오작남비 烏鵲南飛 차비조맹덕지시호此非曹孟德之詩乎?

객이 말하기를 “달은 밝고 별은 성긴데, 까막까치가 남쪽으로 날아간다.” 이것은 조맹덕曹孟德(조조)의 시가 아닌가?

 

서망하구西望夏口 동망무창東望武昌 산천상무山川上繆 울호창창鬱乎蒼蒼

차비맹덕지곤어此非孟德之困於 주랑자호周郞者乎?

서쪽으로 하구를 바라보고 동쪽으로 무창을 바라보니 산천이 서로 얽혀 빽빽하고 푸른데, 여기는 맹덕이 주랑周郞(주유)에게 곤욕困辱을 치른 데가 아니던가?

 

방기파형주方其破荊州 하강릉下江陵 순류어동야順流於東也 축로천리軸艫千里 정기폐공旌旗蔽空

그가 형주荊州를 격파하고 강릉江陵으로 내려가며 물결을 따라 동으로 가니, 배는 천 리에 이어지고 깃발은 하늘을 가렸지.

 

시주임강釃酒臨江 횡삭부시橫槊賦詩 고일세지웅야固一世之雄也 이금안재재而今安在哉?

술을 나누며 강물을 내려다보고 창을 비껴들고는 시를 읊었으니, 참으로 일세의 영웅이었을진대 지금은 어디에 있는가?

 

황오여자況吾與子 어초어강저지상漁樵於江渚之上 여어하이우미록侶魚蝦而友麋鹿

하물며 나는 그대와 강가에서 고기 잡고 나무를 하며, 물고기와 새우를 짝하고 고라니와 사슴을 벗하고 있네.

 

하일엽지편주賀一葉之扁舟 거포준이상촉擧匏樽而相屬 기부유어천지寄蜉蝣於天地

묘창해지일속渺滄海之一粟.

일엽편주를 타고서 바가지 술잔을 들어 서로 권하고, 하루살이 삶을 천지에 기대어 사는, 망망한 푸른 바다의 좁쌀 한 알이로다.

 

애오생지수유哀吾生之須臾 선장강지무궁羨長江之無窮 협비선이오유挾飛仙以遨遊 포명월이장종抱明月而長終 지불가호취득知不可乎驟得 탁유託遺 향어비풍響於悲風

우리네 삶이 잠깐임을 슬퍼하고 장강의 무궁함을 부러워하며, 나는 신선을 끼고서 즐겁게 노닐며 밝은 달을 안고서 오래도록 하다가 마치는 것을, 불현듯 얻지 못할 것임을 알고 여운을 슬픈 바람에 맡기네.”

 

소자왈蘇者曰 객역지부수여월호客亦知夫水與月乎? 서자여사逝者如斯,

이미상왕야而未嘗往也. 영허자여피盈虛者如彼 이졸막소장야而卒莫消長也.

소자蘇者가 말하기를, “객께서도 물과 달이란 것을 아시오? 가는 것은 이 물과 같으나 일찍이 가 버리는 것도 아니고, 차고 비는 것은 저 달과 같으나 끝내 줄지고 늘지도 않으니,

 

개장자기변자이관지蓋將自其變者而觀之 즉천지증불능이일순則天地曾不能以一瞬

자기불변자이관지其不變者而觀之 즉물여아개무진야則物與我皆無盡也

이우하선호而又何羨乎?

그래서 스스로 변해 가는 것들에서 보면 천지도 한순간일 수밖에 없고, 변하지 않는 것에서 보면 사물과 내가 모두 다함이 없는 것이니, 그 또한 무엇을 부러워하리요?

 

차부천지지간且夫天地之間  물각유주物各有主 구비오지소유苟非吾之所有

수일호이막취雖一毫而莫取 유강상지청풍惟江上之淸風 여산간지명월與山間之明月

또, 대저 천지 사이의 사물에는 제각기 주인이 있으니, 참으로 내 것이 아니면 비록 털끝 하나라도 가지려 하지 말아야 하리라. 허나 오직 강 위의 맑은 바람과 산 사이의 밝은 달은,

 

이득지이위성而得之而爲聲 목우지이성색目遇之而成色 취지무금取之無禁

용지불갈用之不竭 시조물자지무진장야是造物者之無盡藏也 이오여而吾與 자지소공락者之所共樂

 

귀로 얻으면 소리가 되고 눈으로 만나면 그림을 이루어, 가져도 금하지 않고 써도 다함이 없으니, 이는 조물주가 준 무궁한 보물이기에 나와 그대가 함께 즐기는 바로다.”

 

객희이소客喜而笑 세잔갱작 洗盞更酌 효핵기진肴核旣盡 배반낭자 杯盤狼藉 상여침자호주중相與枕籍乎舟中 부지동방지기백不知東方之旣白.

객이 기뻐서 웃고 잔을 씻어 다시 술을 따르니, 고기와 과일 안주가 이미 다하고 술잔과 소반이 어지럽네. 배 안에서 서로 베개 삼아 잠이 드니, 동녘 하늘이 이미 밝은 줄도 몰랐네.

 

❶첫 번째로 적벽부가 쓰여진 시간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적벽부는 소동파가 유배를 간 항주杭州 땅을 배경으로 합니다. 그때 도가道家 수행자로 알려진 양세창 등 친구들이 찾아오자 그들과 함께 적벽강으로 놀러 갑니다. 부賦의 첫마디는 그때가 임술壬戌년이라고 기록합니다. 임술은 60갑자의 순환에서 보면 60년마다 돌아오는 한 해일 뿐이지만, 우주의 시공간이 자신의 생명을 잡아 돌리는 관점에서 볼 때는 큰 마디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더 쉽게 말하면 임술壬戌은 명리命理에서 괴강魁罡(북두칠성 첫 번째 별이라는 뜻)이라 하여 우두머리를 말합니다. 일찍이 한동석韓東錫 선생은 『우주변화의 원리』 책에서 ‘술戌은 서북으로 유배流配 간다.’라는 의미 있는 말을 남겼는데, 여기서 소동파가 유배 상태인 것과 의미가 겹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앞서 말한 ‘~나그네’라는 뜻과 깊이 상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賦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자연自然에 대한 무한한 친근감과 아울러 청풍명월淸風明月과 함께하는 삶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임술년 가을 소동파가 적벽강에서 느낀 달은, 몸은 비록 유배지에 묶여 있을지언정 청풍명월을 나눔에 있어 전혀 불편함이 없는 자유로운 영혼의 비상을 노래합니다. 그 정취를 알 길은 없지만 퉁소 소리 가락이 너무나 비장하여 물속의 용은 춤을 추고 옆에 지나가던 외로운 배의 여인은 구슬피 울 정도였습니다.

 

그러면 참동학 증산도에서 상제님은 임술과 달을 어떻게 말씀하고 계신지 알아보겠습니다.

 

조래천하팔자곡調來天下八字曲하니 누류인간삼월우淚流人間三月雨라

규화세침능보곤葵花細忱能補袞이나 평수부종빈읍결萍水浮踵頻泣玦이라

천하 사람의 팔자타령을 읊조려 보노라니 인간 세상에 흐르는 눈물 춘삼월의 비와 같도다.

해바라기의 님 향한 마음 천자를 보필할 수 있으나 부평초같이 떠도는 이 내 신세 자주 눈물 흘리네.

 

일년월명임술추一年月明壬戌秋요 만리운미태을궁萬里雲迷太乙宮이라

청음교무이객소淸音蛟舞二客簫요 왕겁오비삼국진往劫烏飛三國塵이라

한 해 밝은 달은 임술년의 가을이요 만 리에 뻗은 구름 태을궁을 가리네.

두 나그네의 맑은 퉁소 소리에 교룡이 춤을 추고 가는 겁액劫厄 기운 까마귀 나니 삼국에 풍진이 이는구나. 

(증산도 도전道典 6:18:3~4)

 

곧 임술壬戌은, 저 아득한 만 리 구름으로 가려진 신비한 태을궁太乙宮과 대비시키고 있습니다. 궁宮이라 하였으니 태을太乙의 정신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소리 없이 내리는 봄비처럼 세상 사람들의 팔자타령과 함께 흐르는 저 눈물을 닦아 줄 수 없을까? 오직 태을궁의 빛이 온 누리에 퍼져 전쟁을 마침내 없애고 그때 새 세상을 열수 있으리라! 상제님의 이 시는 소동파의 부에 적극 화답하는 것같이 느껴집니다. 임술 달은 태을의 사람 살리는 정신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❷무극대도인 동학-참동학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동학에서 참동학으로 넘어가는 그 분기점을 이루는 것이 임술년입니다. 동학의 지도자를 두목頭目이라고 불렀습니다. 순수 우리말이죠. 참동학에서는 이보다 훨씬 큰 의미를 담은 대두목大頭目이라는 호칭이 등장합니다.

 

동학의 마지막 지도자는 손병희였습니다. 그는 아시다시피 3.1만세운동을 주동하였습니다. 상제님께서는 우리나라의 근대화를 이끈 이러한 동학 지도자(두목)를 이어 앞으로 대인大人이 출세한다고 하셨습니다. 손병희가 사망한 해가 임술년이요, 이어 새로운 존재에 의하여 태을을 가린 구름이 걷히게 될 것입니다.

 

한국의 많은 종교 지도자들이 새 시대 새 인물을 표어(catchphrase)로 내세우며 등장하였습니다. 그런데 진위眞僞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그 첫 번째가 시간의 검증 방법입니다. 그분의 탄생은 임술년 이전입니까? 임술년 이후입니까? 임술壬戌은 그 기준이 됩니다.

 

❸종래의 한국 비결에 두우斗牛가 있습니다. 두성斗星과 우성牛星(견우성牽牛星)을 말하죠. 두우는 다시 한글 동음으로 두二 우牛(=소), 즉 소[牛]로 상징되는 두 분의 진인眞人을 가리키고, 여기에 대비하여 말[午]로 상징되는 진인이 나옵니다. 남사고비결南師古秘訣은 남조선에 네 분의 진인이 나오는데, 그분이 궁궁을을弓弓乙乙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그것이 남사고비결 첫 줄이고 결론입니다. 동학은 1907년 궁을가弓乙歌에서 궁궁을을이 인간으로 오신다고 선언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네 분 진인眞人은 사명당四明堂 기운으로 전 세계를 평화낙원으로 만들고 승평昇平 시대를 건설한다고 하였습니다. 참동학의 실체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러한 비결 지식의 바탕 위에서 다시 한번 적벽부를 봅시다.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인 소동파의 붓끝이 그야말로 단단한 우주 비밀의 포장을 날카롭게 베어 속살을 드러내 주는 것만 같습니다. 두우는 태을로 들어가는 안내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소동파 이분은 어떻게 자신의 시정이 떠오르는 그 당시의 달의 위치가 두성과 우성을 지날 때라고 기록할 수 있었을까요? 그야말로 천지와 혼연일체渾然一體로 하나 된 상태가 아니라면 어찌 가능할 것인가. 달노래 작자는 바로 이때의 달이, 태을의 하늘 북방에서 내려 주는 빛과 두성斗星의 생명을 화두로 전합니다.

 

❹아시다시피 적벽강은 삼국지의 가장 치열한 전투 중 하나인 적벽대전의 무대이지요. 조조가 손권과 유비의 연합군을 맞아 싸운 이 대전의 결과로 일찍이 제갈량이 설계한 천하삼분天下三分의 구도가 형성됩니다. 삼국지에서는 제갈량의 입장에서 적벽대전의 장관(spectacle)을 전개하지만, 여기서는 연합국에 맞서 대응하는 조조의 영웅적 시야를 조명합니다. 적벽에 뜬 달은 태을의 전쟁을 그치게 하는 정신을 그리고 있습니다.

 

사가보월思家步月 청소립淸宵立은 두자미杜子美의 사향思鄕이라 달노래 작자는 참으로 문장에 밝았던 분임에 틀림없습니다. 지금처럼 컴퓨터로 검색할 방법이 없던 1920년대에 태을太乙의 의미를 이렇게 여러 시구에서 발췌해 내는 것을 보십시오. 이번에는 시성詩聖이라 칭송받는 두보杜甫(712~770)를 소개합니다. 시詩로 사람을 놀라게 하지 못하거든 죽어도 쉬지 아니하리라(語不驚人死不休)는 그의 말처럼, 그는 재능이 뛰어났지만 삶은 파란만장하였습니다. 그것이 그의 시에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그는 과거에도 억울하게 자주 낙방하고 방랑 생활을 하였다고 합니다. 야사에 따르면 매우 굶주리다가 간신히 잔칫집을 방문하여 폭식하다가 생긴 배탈로 사망했다고 하는 말이 전해 오는 것은, 그가 평생 병고에 시달린 고달픈 삶을 살았다는 것을 대변합니다. 여기서 인용된 시는 ‘한별恨別’이란 시인데 이별을 한恨한다는 뜻입니다.

 

 

 

한별恨別

낙성일별사천리洛城一別四千里

: 낙양성을 이별하고 사천 리 떠나 있어

 

호기장구오륙년胡騎長驅五六年

: 오랑캐 기병이 쳐들어온 지 대여섯 해

 

초목변쇠행검외草木變衰行劍外

 : 초목이 시들 때는 검각성 밖을 거닐고

 

병과조절노강변兵戈阻絶老江邊

 : 전쟁으로 길이 막힐 땐 강변에서 늙었다오.

 

사가보월청소립思家步月淸宵立

 : 달빛 아래 거닐다가 집 그리며 우뚝 서고

 

억제간운백일면憶弟看雲白日眠

 : 동생 그리며 흰 구름 보며 낮잠도 잔다오.

 

문도하양근승승聞道河陽近乘勝

 : 하양 근처에서 승전 소식 들리니

 

사도급위파유연司徒急爲破幽燕

 : 사도는 오랑캐 땅 빨리 쳐서 부셔 다오.

 

여기는 설정 자체가 전쟁의 와중에 가족이 뿔뿔이 흩어져 생사를 알 수 없는 아픔이 녹아 있습니다. 사가보월思家步月은 ‘달빛 아래 떠나온 집을 그리며’라는 뜻입니다. 남북 이산가족이 몇십 년 만에 한 번 만났다가 살아생전 언제 또다시 만날 기약이 없이 헤어질 때, 제일 많이 하는 넋두리 약속이 뭔 줄 아시나요? “보름달이 뜨면 서로 같은 달을 보며, 서로 본 듯이 하자.”라는 겁니다.

 

청소립淸宵立은 우리말로 밤을 하얗게 새운다는 말이 있죠? 그겁니다. 이태백은 동정호에 비친 달을 잡으려다가 물에 빠졌다는데, 두보는 하늘에 걸린 달을 보고 발걸음을 떼지 못합니다. 두보의 달은 전쟁이 끝나고 흩어진 가족이 만나서 재회를 약속하는 힐링의 달이 아닐 수 없습니다. 태을의 ‘전쟁을 그치게 하는’ 그리고 병을 낫게 해 주는 예화로 뽑힌 것입니다.

 

🌕추풍월야秋風月夜 초병산楚兵散하니 수식誰識 계명산월명鷄鳴山月明고

남조선 뱃노래에서 소개된 항우項羽는 세상 사람이 가장 부러워하는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의 모델이었습니다. 그는 강동 자제 8천 명을 데리고 천하를 통일하려는 기세로, 타고 온 배는 모두 침몰시키고 밥 지을 솥도 깨 버리고 양식이라고는 3일 치만 보급하여 결사의 항전 태세를 갖추고 진나라와의 전쟁을 치러 그야말로 맹주盟主의 위치에 오릅니다. 이른바 초패왕楚覇王입니다. 그러나 천하의 분란은 뭇 영웅들의 토너먼트 샅바 싸움 기록이 마무리되어야 최종 결론이 나는 법 아니겠습니까?

 

〈패왕별희覇王別姬〉의 마지막 장면처럼 항우는 가을이 되어 난생처음 실패한 전쟁을 치르는데 그 상대는 장량張良이었습니다. 계명산에 진을 친 초나라 항우 군사의 기세를 꺾기 위해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를 부르는 심리전을 벌입니다.

 

때는 가을이라 고향 생각이 절로 나는데 고향 노래가 들려오니 오랜 전쟁에 피로한 초나라 군사들은 전의를 상실하고 탈영자들이 속출합니다. 탈영병을 죽이지 않고 의도적으로 길을 터 주자 그야말로 탈출 러시를 이루고... 이에 항우는 “한나라가 이미 초나라를 점령했다는 말인가, 어째서 초나라 노래를 부를 줄 아는 사람이 이토록 많은가!” 하며 크게 놀라고 슬퍼했다고 합니다.

 

그 유명한 ‘해하가’垓下歌를 한번 봅시다.

 

해하가垓下歌

역발산혜기개세力拔山兮氣蓋世

힘은 산을 뽑고 기개는 세상을 덮었도다.

 

시불리혜추불서時不利兮騅不逝

시운이 불리하니 추騅도 나아가지 않는구나.

 

추불서혜가내하騅不逝兮可奈何

추마저 나아가지 않으니 난 어찌해야 하는가.

 

우혜우혜내약하虞兮虞兮奈若何 우희虞姬여,

우희여! 그대를 어찌하면 좋은가.

 

계명산 밝은 달은 역사적 영웅인 항우에게 비극적 패망을 안긴 달이지만, 강동 자제를 포함한 초나라 군사들에게는 애초 가슴에 품었던 전의戰意를 완전 상실케 만드는 달입니다. 곧 태을의 전쟁을 그치게 하는 달입니다.

 

달아 달아 밝은 달아 후천명월後天明月 밝은 달아 자칫 달이 태을인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면 저의 설명이 부족한 탓입니다. 달은 유형의 실체이고 지금도 앞으로도 계속 운행할 것입니다. 태을은 우주의 호생好生하는 속성을 말합니다. 전쟁과 질병, 인류는 선천 세상에서 한순간도 이로부터 자유로운 적이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나긴 상극 시대가 끝나면, 전쟁도 질병도 없는 ‘다시 개벽’의 새 시대가 도래할 것입니다.

 

달노래 작자는 동학과 참동학이 지향하는 실체를 쉽게 설명하고자 달을 주제로 많은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그중 달의 정신을 상징하는 수원水原 나그네의 신비로운 이야기부터는 인사人事와 천도天道가 맞물려 들어가므로 도담道談의 격格과 분위기가 사뭇 다름을 느낄 수 있습니다. 태을의 정신을 발췌한 여러 시구는 두고두고 음미하여 더 깊이 대화할 시간을 기다립니다. 


생존의 비밀, 한민족과 증산도, 천지성공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께 생존의 비밀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

임금님이 ⚪🔴일월오봉도를 펼친 까닭은?역철학 음양오행

 

증산도 본부도장 김덕기

 

음양오행에 관한 다양한 예화를 쉽고 자세히 설명하는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연재를 시작하며 역易 철학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월오봉도에 담긴 뜻

조선 시대에 왕이 나와서 조회朝會를 하던 궁궐의 정전正殿에는 공통으로 배치된 것이 있었습니다. 임금이 앉는 어좌御座의 뒤편에 놓인 병풍屛風입니다. 다섯 개의 산봉우리와 해, 달, 소나무, 폭포, 그리고 파도가 출렁이는 바다를 그린 것으로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일월오악도日月五岳圖·일월곤륜도日月崑崙圖’라고 부릅니다.

 

일월오봉도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오직 조선에서만 발견됩니다. 현재는 경복궁의 근정전勤政殿, 창덕궁의 인정전仁政殿, 창경궁의 명정전明政殿, 덕수궁의 중화전中和殿에 배설排設되어 있습니다.

 

 

 

일월오봉도는 국왕의 권위와 통치자가 다스리는 삼라만상을 상징합니다. 해와 달은 각각 왕과 왕비를, 다섯 개의 봉우리는 곤륜산崑崙山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그런데 일월오봉도에 담긴 좀 더 깊은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선 그림 속 사물들의 개수를 살펴봐야 합니다.

 

하늘에는 흰 달과 붉은 해가 두둥실 솟아 있고, 그 아래로는 다섯 개의 산봉우리가 우뚝 서 있습니다. 산봉우리는 폭포수를 사이에 두고 가운데의 세 개와 바깥의 두 개로 나뉘어 있습니다. 땅에는 소나무가 좌우에 두 그루씩 서 있습니다. 산에서 힘차게 흘러나온 두 개의 폭포수는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있습니다. 하늘도 하나이고, 바다도 하나입니다.

 

동양의 역易 철학에서 1은 도道나 태극太極을 상징하고, 2는 음양陰陽을 상징합니다. 3은 삼원三元, 4는 사상四象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5는 오행五行, 6은 육기六氣를 상징합니다. 7은 칠정七政, 8은 팔괘八卦, 9는 구궁九宮, 10은 천간天干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일월오봉도는 삼라만상이 운동하는 ‘우주 변화의 원리’를 표현한 추상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물이 하나에서 나와서 음양·오행으로 전개되었다가 다시 하나로 돌아가는 대자연의 순환 법칙’을 드러낸 것입니다.

 

1
도道·태극太極
2 음양陰陽
3 삼원三元·삼재三才
4 사상四象
5 오행五行·황극皇極
6 육기六氣·육합六合
7 칠정七政(칠성七星)
8 팔괘八卦
9 구궁九宮
10 10천간天干·무극無極
12 12지지地支
64 64괘卦

 

🌏임금님이 국가를 다스리는 법法

국왕의 어좌 뒤편에 일월오봉도를 배치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비록 조선 시대에 임금님의 권한이 막강하다고 하더라도 마음대로 국가를 경영하지는 않았습니다. 지금처럼 법에 의거해서 국가를 다스렸습니다.

 

조선은 개국과 더불어 법전 편찬에 착수하여 『경제육전經濟六典』을 제정하고 시행하였습니다. 하지만 미비하거나 현실과 모순된 것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7세 국왕 세조世祖는 즉위하자마자 통일 법전 편찬에 착수하여 『경국대전經國大典』을 만들었습니다. 오늘날에는 국가의 수장인 대통령大統領이 헌법憲法에 의거해서 국가와 국민을 통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법전法典에 손을 얹고 취임 선서를 합니다.

 

법은 국왕 또는 대통령이 국가와 국민을 다스리는 통치 법도입니다. 그런데 불교의 교리를 법 자를 써서 불법佛法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법法 자는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 팔리어 ‘담마Dhamma’를 번역한 것입니다. 중국의 선禪 불교를 열었던 달마대사達磨大師(Bodhidharma, ?~528?)의 달마도 담마에서 따온 법명입니다. 불교에서 다르마는 ‘최고의 진리, 우주의 법칙, 도리, 실체, 모든 존재(일체법)’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법계法界(Dharma Dhatu)는 진리의 세계, 법륜法輪(Dharma Cakra)은 진리의 수레바퀴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넓게 본다면, ‘법을 지키고 법에 따라 살아가야 한다.’는 건 ‘진리에 따라 진리를 실현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즉, ‘순천도順天道 종지리從地理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국왕 또는 대통령이 법에 따라 국가를 경영한다.’는 건 ‘진리에 의거해서 국가를 통치한다.’는 뜻입니다. 이를 상징한 그림이 임금님 어좌 뒤에 배설한 일월오악도입니다.

 

🌏등잔 밑이 어둡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품고 있는 의문이 있습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이 세상에 왜 태어났나? 우주란 무엇인가?” 하지만 어릴 적, 상상의 나래를 펴게 했던 의문들은 이내 세월과 함께 묻혀 버리고 맙니다. 간혹 이를 풀어 보기 위해 신비의 문을 두드려 보지만 이내 공허한 메아리만 들려올 뿐입니다.

 

인류가 태초 이래로 찾아 왔던, 우주와 인생의 의혹을 풀어 줄 그 해답을 ‘진리眞理’라고 합니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이 진리를 찾아 왔으며, 지금도 진리를 찾아 나서고 있습니다.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진리는 하나다.”, “진리는 살아 있다.” 등은 진리 탐구의 여정에서 한 번쯤 들어 보는 격언입니다. 그러나 막상 살아 있는 그 하나의 진리가 무엇인지 물으면 대답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를 자유롭게 해 줄 그 하나의 진리란 무엇일까요?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가까이에 찾던 것이 있는데도 모른다는 뜻입니다. 진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왜냐하면, 진리라는 글자에 우리가 찾던 진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진리는 ‘참 진眞’, ‘이치 리理’ 자로 ‘참된 이치’라는 뜻입니다.

 

‘리理’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사람이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길을 도리道理라고 합니다. 신이 자연과 인간 세상을 다스리는 이치를 섭리攝理라고 합니다. 사물의 근본이 되는 이치를 원리原理라고 합니다. 이 밖에도 천리天理, 지리地理, 문리文理 등 다양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아울러서 밝혀 주는 참된 이치를 진리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서 진리란 ‘참된 우주의 변화 이치’를 의미합니다.

 

진리를 동양에서는 ‘도道’라고 불러 왔습니다. 그리스 문명권에서는 ‘로고스Logos’, 인도 문명권에서는 ‘다르마Dharma’라고 표현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진리를 어디에서 어떻게 찾아야 할까요?

 

🌏주·객을 동시에 간파하라

‘하우스 오브 카드House of Cards’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넷플릭스에서 방영한 정치 드라마입니다. 미국 워싱턴 정계에서 벌어지는 탐욕과 권력, 야망, 비리 등을 다룬 정치 스릴러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카드로 지은 집이니 당연히 금방이라도 무너질 정도로 위태롭고 불안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란 뜻의 ‘사상누각沙上樓閣’이 생각납니다.

 

강한 비바람에도 무너지지 않을 튼튼한 집을 만들려면 단단한 토대 위에 지어야 합니다. 지진이 나서 땅이 흔들리거나, 싱크홀Sinkhole로 땅이 꺼진다면 삶의 터전이 모두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인류 문화도 마찬가지입니다. 단단한 토대 위에 기둥을 세워야 인류 역사에 길이 남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렇게 단단한 토대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중국의 기杞 나라에 하늘과 땅이 무너질 것을 걱정하여 침식을 전폐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이 소리를 들은 어떤 사람이 불쌍히 여겨 “하늘은 두터운 기운이 쌓여 이루어졌으므로 꺼지지 않고, 땅은 흙이 두텁게 쌓여 이루어졌으므로 무너질 염려가 없다.”고 일깨워 주었습니다. 그제야 그는 근심을 풀고서 크게 기뻐하였습니다. 『열자列子』에 나오는 ‘기우杞憂’라는 고사성어의 유래입니다.

 

동양에서는 이처럼 하늘과 땅이 영원히 건재할 거라는 확고한 믿음이 있었습니다. 서당에서 아이들을 처음 가르칠 때 ‘하늘 천天, 땅 지地, 해 일日, 달 월月’로 시작하는 천자문을 가르친 것도 이 때문일 겁니다. 그래서 공자께서는 ‘근취저신近取諸身 원취저물遠取諸物’(『주역』 「계사전」)하라고 하였습니다. 우주와 인간의 신비를 풀어 줄 진리를 가까이는 자신의 몸[주主]에서 찾고, 멀리는 대자연[객客]에서 찾으라는 말씀입니다.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일을 말할 때 ‘해가 서쪽에서 뜬다.’고 합니다. 해와 달의 운행이 결코 바뀐 적이 없다는 경험과 믿음에서 생겨난 속담입니다. 하루는 해의 운행을 따라 아침, 점심, 저녁, 밤이 반복됩니다. 1년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반복됩니다. 식물은 봄에 태어나 여름에 성장하고, 가을에 열매를 맺어 겨울에 씨를 저장합니다. 사람은 유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를 거치며 일생을 살아갑니다. 이처럼 우주 만유는 동일한 우주 변화의 법칙에 따라 변화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우주 통치 법도, 생장염장

지금으로부터 4,300여 년 전(서기전 2333년), 환웅천황이 다스리던 배달국을 이어 단군조선(고조선)이 건국되었습니다. 단군왕검께서는 삼신상제님께 천제를 올리고 송화강 유역의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였습니다. 천자국 단군조선은 47명의 단군이 2,096년 동안 다스렸습니다.

 

단군왕검檀君王儉은 최고 통치자의 관직명으로, 제사장을 뜻하는 단군과 통치자를 뜻하는 왕검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고대의 제사장은 하늘과 소통하는 성인聖人이었습니다. 이는 단군조선이 성인정치가 이뤄진 제정일치祭政一致 사회였다는 걸 의미합니다. 제정일치의 전통은 후대에도 이어졌습니다.

 

‘제帝’ 자에는 임금 외에도 하나님이란 뜻이 있습니다. 그래서 하늘의 옥좌에서 우주를 통치하시는 하나님을 ‘상제上帝’라고 합니다. 상제는 동방 문명권에서 사용하던 하느님의 공식 호칭입니다. 상제님을 대행해서 지상을 다스리는 통치자가 ‘하제下帝(황제皇帝)’입니다. 황제가 제위에 오르면 대제사장이 되어 하늘에 계신 상제님께 천제天祭를 올렸습니다. 상제님의 천명天命으로 정통성을 부여받고, 상제님을 대행해서 국가와 국민을 다스리고자한 것입니다.

 

상제님은 삼계 우주를 통치하시고, 황제는 국가와 국민을 다스립니다. 상제님께서 천지인天地人 삼계 우주를 통치하시는 무상의 권능을 삼계대권三界大權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황제의 권력은 국가대권國家大權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황제(대통령)가 진리인 법法에 따라 국가를 통치하듯, 상제님은 진리인 도道에 따라 삼계 우주를 주재하십니다. 도道는 상제님의 우주 통치 법도이고, 법法은 황제의 국가 통치 법도입니다.

 

주재자
상제上帝
황제皇帝(대통령大統領)
통치 범위
삼계 우주
국가와 국민
통치 법도
도道
법法
통치 권능
삼계대권三界大權
국가대권國家大權

 

그동안 우주의 변화는 진리에 따라 저절로 자연自然히 이루어진다고 여겨 왔습니다. 그러나 그 이면의 실상에는 우주의 창조 원리인 진리를 맡아 다스리는 상제님이 계십니다. 상제님과 도의 관계를 밝힌 분이 중국 남송 시대에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朱子(주희朱熹, 1130~1200)입니다. 

 

제시리위주(帝是理爲主)

제帝는 우주의 창조 원리인 리理를 맡아 다스리는 분이라.

- 『주자어류』

 

  • 동방에서는 우주 삼계[天^地^人]의 생명의 근원과 그 변화의 길을 일러 도道라 하고, 이 도의 ‘주재자 하느님’을 제帝 또는 상제上帝라 불러 오니라.
  • (도전道典 1:4:1)

 

그리고 마침내 1871년, 동방의 이 땅에 강세하신 증산 상제님께서는 당신님께서 우주를 주재하시는 통치 법도를 온 인류에게 밝혀 주셨습니다.

 

  • 내가 천지를 주재하여 다스리되 생장염장生長斂藏의 이치를 쓰나니 이것을 일러 무위이화無爲以化라 하느니라.
  • (도전道典 4:58:4)

 

🌏대자연의 변화를 연구하는 역 철학

상제님의 우주 통치 법도, ‘생장염장生長斂藏’! 이것이 바로 인류가 그토록 찾아 왔던 진리입니다. 하지만 이 말씀을 통해서 바로 진리의 실상을 밝혀내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진리를 탐구할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바로 음양오행의 법칙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하도河圖·낙서洛書와 이를 바탕으로 한 팔괘八卦·오운육기五運六氣 등입니다.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운동법칙이란 우주의 변화법칙變化法則이며, 만물의 생사법칙生死法則이며, 정신의 생성법칙生成法則이므로 우주의 모든 변화가 이 법칙 밖에서 일어날 수는 없다. …… 그러나 이것은 어느 개인의 창작이 아니고 역대歷代 성철聖哲(동양東洋)들의 합심협작合心協作의 결정인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진리가 있으니 이것은 상대적相對的 진리가 아니고 절대적絶對的 진리이다.

- 『우주 변화의 원리』 11쪽

 

『삼국유사三國遺事』 「고조선古朝鮮」 조條를 보면, 환국 말에 환웅천황이 환인천제의 명을 받고 지상으로 내려올 때 종통의 상징으로 ‘천부天符와 인印, 세 개’를 받았다고 합니다. 1에서 10까지의 자연수로 구성된 『천부경天符經』은 인류가 우주의 변화 원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삼신상제님께서 내려주신 최초의 계시록입니다.

 

『천부경』을 근거로 역의 뿌리인 ‘환역桓易’이 등장하였습니다. 그 뒤 배달국의 태호복희씨께서 ‘하도河圖’를 계시받고 ‘복희팔괘伏羲八卦’를 완성하였습니다. 그리고 ‘희역羲易’을 만들어 백성을 교화하였습니다. 단군조선의 단군왕검께서는 ‘낙서洛書’를 처음 그리시고, 하夏나라의 우禹임금이 9년 홍수를 다스릴 수 있도록 전하셨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우임금이 낙서를 낙수洛水에서 발견했다고 잘못 알려져 있습니다.

 

하夏나라 때에는 간괘艮卦로 시작하는 ‘연산역連山易’이 등장하였습니다. 은殷나라 때에는 곤괘坤卦로 시작하는 ‘귀장역歸藏易(龜藏易)’이 있었다고 합니다. 건괘乾卦로 시작하는 『주역周易』은 ‘문왕팔괘’를 완성한 주周나라의 시조 문왕이 괘사卦辭를 짓고, 그의 아들 주공이 효사爻辭를 지으면서 집대성되었습니다. 공자께서는 만년에 『주역』을 좋아하여 죽간의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질 정도로[위편삼절韋編三絶] 읽은 후에 「십익十翼」을 저술하였습니다. 19세기 후반에는 우리나라에서 김일부金一夫대성사가 『정역正易』을 완성하여 선천에서 후천으로 바뀌는 천지개벽의 이치를 밝혔습니다.

 

일월위역(日月爲易)

- 『설문해자』

 

대자연의 변화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을 ‘역易 철학’이라고 합니다. 역易은 일日과 월月을 합해서 만든 글자로, ‘음(달)과 양(해)의 변화 원리’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변화 법칙인 ‘역의 원리’는 인간 삶의 바탕인 책력冊曆(달력)을 만드는 틀이 되었으며, 삶의 과정인 역사歷史로 드러났습니다. 역 철학은 동북아 문명의 핵核이자, 우주와 인간의 운행 법칙과 존재 목적을 밝혀 주는 신비 개발의 법방입니다.

 

  • 천지의 모든 이치가 역易에 들어 있느니라.
  • (도전道典 2:20:5)

 

생존의 비밀, 한민족과 증산도, 천지성공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께 생존의 비밀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

「삼일신고三一神誥」의 수행, 귀환歸還의 상향도–성통광명性通光明 (3)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귀환歸還의 상향도–성통광명性通光明 (3)

수행의 3단계는 몸에서 세 손길로 작동하는 ‘삼진’을 꿰뚫어서 본연의 ‘하나’로 만들어 ‘성통광명性通光明’, 즉 ‘광명에 통하는 성性’을 향해 나아가는 수련이다. 여기에서 꿰뚫는다는 뜻은 물론 ‘삼진’에 달통達通한다는 것이요, ‘하나’로 만든다는 것은 전변轉變된 ‘삼진’이 생명의 본체로의 회귀回歸, 즉 ‘살아 있는 광명한 신’으로 환원還元됨을 함축한다.

 

‘성통광명’을 향한 수련과정은, 전통적인 선가仙家에서 전하는 개념으로 말하면, 소주천小周天과 대주천大周天이 핵심이다. 여기에서 주천周天이란 축자적逐字的으로 궤도를 따라 한 바퀴 돈다는 의미다. 몸에서 궤도는 바로 맥脈을 일컫는데, 소주천은 생명의 진기眞氣를 몸 안에서 맥을 따라 한 바퀴 돌린다는 뜻이고, 대주천은 몸 안의 진기를 우주자연의 기운과 소통하여 한 바퀴 돌린다는 뜻이다.

 

주천의 맥은 크게 ‘임맥任脈’과 ‘독맥督脈’으로 구분되고, 대주천의 맥은 충맥衝脈이다. 소주천의 수련은 몸 안의 ‘임맥’과 ‘독맥’을 뚫어 생명의 원동력인 진기, 즉 양陽의 기운과 음陰의 기운을 끌어 모아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그 목적은 생명의 진기眞氣를 하단전下丹田에 축적하여 정단精丹을 형성하고, 이로부터 광명한 ‘도의 성태’, 즉 ‘도태道胎’를 만드는 것이다. 반면에 대주천의 수련은 ‘충맥衝脈’을 뚫어 정단에서 생겨난 ‘도태’를 위로 끌어 올리면서 중단전과 상단전을 열고, 백회를 열어 몸 안의 생명의 진기와 천지기운을 소통시키는 것이다.

 

소주천이든 대주천이든 수련의 근본은 호흡이다.
왜냐하면 호흡은 생명의 진기를 끌고 다니는 결정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즉 삼신의 경계에서 나오는 순수의식은 호흡을 통해 몸을 감싸고 있는 생명의 음양기운, 즉 들숨으로 양의 기운을, 날숨으로 음의 기운을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호흡의 방식은 의식적인 상태에서 강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의식의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하는 진식호흡眞息呼吸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호흡을 통해 이동하는 음양기운의 부조화不調和로 우주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의 가장 정밀하고도 민감하게 작동하는 자율적인 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먼저 몸에서 ‘임맥’과 ‘독맥’을 뚫어서 생명의 진기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하단전에 정단을 쌓고, ‘도태’를 만드는 소주천의 수련에 대해 알아보자.

 

━━━━⊱⋆⊰━━━━

 

소주천에서 임맥任脈과 독맥督脈은 생명의 진기가 위와 아래로 흐르는 통로이다. 즉 임맥은 땅의 기운이 모이는 음맥陰脈이지만, 양의 기운이 위에서 배꼽 아래로 내려가는 통로이다. 이는 머리 정수리 부분의 백회百會를 기준으로 몸의 앞쪽에서부터 배꼽 아래의 하단전을 지나 회음會陰에까지 이른다. 반면에 독맥은 하늘의 기운이 모이는 양맥陽脈이지만, 음의 기운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통로이다. 이는 회음에서부터 몸의 등 뒤쪽을 타고 머리의 백회에까지 이른다.

 

소주천의 수련과정은 우선 임맥과 독맥을 ‘뚫어내는 것’이 관건關鍵이다. 수련방식은 순수의식에서 따스한 느낌이 드는 양의 기운을 회음會陰으로 향하게 하여 아래의 하단전에 밀어 넣는다고 생각하면서 숨을 들이쉬고, 차가운 느낌이 드는 음의 기운을 백회로 향하게 하여 머리의 상단전에 밀어 넣는다고 생각하면서 숨을 내쉬는 것이다.

 

몸 안에서 생명의 진기를 내리고 올린다는 생각으로 진식호흡을 반복적으로 수련하게 되면 임맥과 독맥이 자연히 뚫리게 된다. 임맥과 독맥이 뚫리면 음양의 생명기운은 몸의 위아래로 한 바퀴 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들숨과 날숨을 통해 음양의 생명기운이 독맥을 타고 백회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임맥을 타고 내려와 회음으로 되돌리는 것이 소주천의 수련이다.

 

 

 

소주천의 수련을 집중적으로 거듭하게 되면, 하단전이 어느 순간에 열리게 된다. 하단전이 열리게 되면, 들숨을 통해 회음으로 향하는 양의 기운이 하단전에 점진적으로 쌓이게 되는데, 이것이 쌓여 강하게 뭉치게 되면 하단전이 뜨겁게 달아오르는 느낌이 일어나게 된다. 이것을 순양지기純陽之氣라 한다.

 

반면에 날숨을 통해 음의 기운이 회음을 거쳐 독맥을 타고 위로 올라가 백회에 이르게 되는데, 이것이 점차 쌓여 강해지면 머리가 시원해짐을 느끼게 된다. 이것을 순음지기純陰之氣라 한다. 이 과정을 선가에서는 수승화강水昇火降이라고 하는데, 이는 임맥을 통해 양의 기운인 뜨거운 불[火] 기운을 아래로 내리고, 독맥을 통해 음의 기운인 차가운 물[水] 기운을 위로 올리는 수련이다.

 

소주천의 수련을 더욱 집중하여 그 과정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열려 있는 하단전에 자연적으로 생명의 진기가 점차 모이게 된다. 왜냐하면 날숨과 들숨을 통해 하늘의 양陽 기운과 땅의 음陰 기운이 하단전에서 만나 음양의 생명기운이 쌓이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점차 뭉치게 되면 바로 정단精丹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정단이 형성되어 굳건하게 쌓이고 커지게 되면, 거기에서 ‘도태道胎’가 성태成胎하여 점차 자라나기 시작한다. 소주천의 수련 중에 오묘하고 야릇한 기운이 하단전에 꾸물거리는 느낌은 바로 이를 말해주고 있다.

 

━━━━⊱⋆⊰━━━━

 

다음으로 충맥衝脈을 뚫어 하단전에 형성된 ‘도태’를 위로 끌어 올리면서 중단전과 상단전을 열고, 백회를 열어 몸에서 생명의 진기와 천지기운이 상호 소통하도록 하는 대주천大周天에 대해 알아보자.

 

몸에서 천지기운과 상통하는 생명의 중심축은 충맥이다. 충맥은 머리 부분의 백회에서 척추 안쪽에 회음에까지 수직으로 연결된 통로이다. 충맥을 뚫어야 생명의 진기가 몸 밖의 천지기운과 상통할 수 있다.

 

충맥을 뚫는 수련방식은 순수의식에서 정수리 부분의 백회에서부터 하단의 회음에까지 하늘 기운을 내 몸의 중심을 통해 수직으로 쭉 내린다고 생각하면서 숨을 빨리 들이마시고, 반대로 숨을 내쉴 때에는 하단전에서 회음을 거쳐 백회에까지 수직으로 쭉 끌어 올린다는 생각으로 천천히 내쉬는 것이다.

 

 

 

대주천의 수련 중에 시천주侍天主 주문과 태을주太乙呪를 송주誦呪하면서 집중하여 반복적으로 수련하게 되면, 절정의 순간에 순수의식은 광명으로 이루어진 빛줄기가 하늘에서 번개처럼 내려와 머리를 강타하여 백회를 뚫고 들어오고, 충맥을 따라 회음에까지 쭉 내려감을 직감하게 된다. 이것이 천지기운의 문을 열고 충맥이 뚫리게 되는 과정의 표징表徵이다. 

 

충맥이 뚫리면, 정단에서 성태成胎하여 자라난 ‘도태’는 하단전을 열고 나와서 충맥을 통해 충천衝天하여 중단전과 상단전을 열게 되고, 백회를 뚫고 나와 지나 머리 위에 있게 된다. 이로써 음양의 천지기운과 몸 안의 생명기운이 상호 소통하는 주천이 일어나는데, 이것이 바로 대주천이다.

 

대주천에서 중요한 것은 충맥을 통해 올라가는 ‘도태’가 중단전과 상단전을 열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태’가 올라가면서 가슴 부분의 중단전을 열게 되면 진명眞命이 기화氣化하게 되고, 머리 부분의 상단전을 열게 되면 진성眞性이 신화神化하게 된다. 상단전의 ‘진성’이 신화하면 ‘신이 통하게[神通]’ 되고, 중단전의 ‘진명’이 기화하면 ‘기가 통하게[氣通]’ 된다. 한마디로 ‘신통’과 ‘기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곧 인간의 생명으로 태어날 때 몸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었던, 그래서 서로 만날 수 없었던, ‘원신’과 ‘원기’가 서로 만나게 된다. 내 몸에서 ‘원신’과 ‘원기’가 온전하게 서로 만나게 되면, 이는 몸을 구성하는 ‘성명정’ 삼진이 소통하여 생명의 본원本源인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함축한다.

 

━━━━⊱⋆⊰━━━━

 

몸에서 ‘원신’과 ‘원기’가 만나면 ‘삼진’은 어떻게 ‘하나’로 만들어지는가?
이는 ‘삼신’이 내려와 ‘성명정’의 세 손길로 변전變轉하여 상단전, 중단전, 하단전에 자리를 잡았던 것을 상기想起하면 분명해진다. 왜냐하면 모든 생명의 본원은 안으로는 ‘원신’이요 밖으로는 ‘원기’로 표현되지만 사실 ‘하나’의 동체同體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우주생명의 본원은 내면적인 ‘형形’으로 말하면 광명光明으로 불리는 ‘원신元神’이고, 외면적인 ‘질質’로 말하면 살아 있는 영원한 생명으로 불리는 ‘원기元氣’로 분석되지만, 양자는 사실 우주생명의 본원으로 ‘하나’이다.

 

이에 대해서 『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은 “일기란 안으로 삼신이 있고, 삼신이란 밖으로 일기가 싸고 있다(一氣者內有三神 三神者外包一氣)”고 정의한 까닭이다.

 

그런데 우주생명의 본원은 하나의 동체로 ‘영원히 살아 있는 광명한 신’이다. 이와 관련하여 발귀리發貴理는 “송가頌歌”에서 “대허에 광명이 있음은 신의 형상이요, 대기가 오래도록 살아 있음은 신의 변화이다(大虛有光 是神之像 大氣長存 是神之化)”라고 정의한다.

 

여기에서 ‘광명한 신’은 본연의 하느님 마음[性]을 상징하는 표현이고, ‘영원히 살아 있음’은 하느님의 영원한 생명[命]을 상징하는 표징이다. 그래서 몸에서 ‘원신’과 ‘원기’의 만남은 곧 ‘성명정’ 삼진이 통일하여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영원히 살아 있는 광명한 신’으로의 복귀復歸라는 의미에서 ‘성통광명’의 경계이다.

 

대주천의 수련은 곧 몸에서 ‘충맥’을 뚫어 ‘성통광명’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통광명’이 돼야 우주와 자신이 하나 되는 진정한 의미의 대아大我, 진아眞我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중국 도교의 전진도全眞道에서 소위 ‘성’과 ‘명’을 동시에 진정으로 닦는다[성명쌍수性命雙修]는 슬로건은 결국 삼진을 ‘하나’로 만들어 ‘성통광명’이 됨을 목적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성’과 ‘명’을 동시에 닦는 수련은 몸에서 ‘원신’과 ‘원기’를 온전하게 보존하여 본연의 생명으로 돌아감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유불선삼교합일儒佛仙三敎合一의 내단설內丹說을 주창한 도교의 이도순(李道純, 1219~1296)은 “이른바 전진이라는 것은 본래의 참됨을 온전히 하는 것이다. 정精을 온전히 하고 기氣를 온전히 하며 신神을 온전히 하는 것을 모름지기 전진이라고 한다. 조금이라도 흠이 있으면 곧 온전함이 아니고 조금이라도 오염이 있으면 곧 참됨이 아니다(所謂全眞者 全其本眞也. 全精 全氣 全神 方謂之全眞 才有欠缺 便不全也. 才有點汚 便不眞也)”(李道純, 『中和集』 권3 『全眞活法』)라고 말하는데, 여기에서 ‘정기신精氣神’을 온전히 하는 수련 또한 결국 ‘성통광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대주천의 수련으로 ‘성통광명’이 되면 삼신三神이 작동하는 무궁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즉 중단전이 열려 ‘명’이 기화되면, 기화된 생명의 진기가 대자연과 하나가 되어 밝은 기운이 열리면서 우주에 꽉 들어차 있는 지기가 자신의 몸으로 들어오고, 우주의 바탕인 ‘무궁한 조화성령의 바다에 함께 있다’는 느낌이 든다.

 

상단전을 열려 ‘성’이 신화되면, 신단神丹이 열리고 모든 잡념이 끊어지면서 우주와 자신이 ‘하나’가 되는 순수의식경계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곧 밝은 신도차원의 영적靈的인 의식, 즉 순수의식은 대광명의 신도에 들어가 만물의 순수감성과 신성을 보고 들어 알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소위 총명도통聰明道通이라 하는 것이다.

 

 

수행을 해보고 싶으신가요? 증산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생존의 비밀, 한민족과 증산도, 천지성공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께 생존의 비밀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

신선의 길을 추구한 신라의 천재 최치원(도교,선도, 태백일사)

상생문화연구소 김현일 연구위원

 

 

태모 고수부님은 증산도 교단을 처음 세우신 분이다. 증산 상제님이 어천 한 2년 뒤인 1911년의 일이었다. 성도들이 태모님에게 교 이름을 무엇으로 정할지 여쭈었다.

고수부님은 “천하를 통일하는 도인데 아직 때가 이르니 ‘선도仙道’라고 하라. 후일에 진법이 나오면 알게 되리라.”고 하였다. (《증산도도전》 11:29)

 

선도라는 것은 신선을 추구하는 길이 아닌가? 또 태모님은 “내가 하는 일은 다 신선이 하는 일이니 우리 도는 선도니라”고도 하면서 “너희들은 앞으로 신선을 직접 볼 것이요, 잘 닦으면 너희가 모두 신선이 되느니라.”고 증산도가 신선되는 것을 추구하는 도임을 분명히 하였다.

 

신선이란 어떤 존재인가?

보통 사람들과는 달리 몸과 마음을 닦아 신과 같은 존재가 된 사람을 의미할 것이다. 옛 한국에는 이러한 신선이 되려고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중국의 도교도 이러한 한국의 신선문화에서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중기에 기록된 《태백일사》에 의하면 중국 도교의 시조라고 일컬어지는 황제 헌원에게 도를 전해준 사람이 배달국의 자부 선생이었다. 자부 선생은 헌원에게 《삼황내문경》이라는 책을 전해주어 헌원으로 하여금 마음을 닦아 의로운 정신으로 돌아가게 하였다고 한다.

 

한국의 신선 사상은 신라의 화랑도에서 볼 수 있듯이 삼국시대에도 그 명맥이 살아 있었지만 고려에 들어서는 크게 쇠퇴하였다. 그러다가 조선에 와서는 조선 단학파로 이어져 많은 선인들을 배출하였다.

 

 

 

고운 최치원(857-?)은 이러한 한국의 선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그는 뛰어난 학자로도 유명한데 고려 이전까지 가장 많은 글을 남겨놓은 사람이다. 중국에서 쓴 글들로 이루어진 《계원필경桂苑筆耕》, 신라에 돌아와 왕명으로 편찬한 네 선사들의 전기를 기록한 《사산비명四山碑銘》, 그리고 기타 다양한 여러 글들을 모은 《고운문집孤雲文集》이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온다.

 

학자이자 관료, 정치가로서의 그의 생애는 고려시대에 편찬된 《삼국사기》 열전에 기록되어 있다. 그의 명성은 중국 사서인  《신당서》 예문지藝文志에 그의 저서가 소개되어 있을 정도이다. 그에 의하면 《사륙집四六集》 1권과 《계원필경》 20권이 있다고 하였다. 《사륙집》은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학자로서의 고운은 유교는 말할 것도 없고 불교와 도교에 대해서도 폭넓은 지식을 갖고 있었다. 당나라 과거시험에 합격하였으니 유교경전을 통달했던 것은 물론이고 불교에 대해서도 무척 해박하였는데 《四山碑銘》을 비롯하여 그가 쓴 여러 고승들의 전기에서 잘 드러난다. 중국의 도교에 대해서도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가 상관으로 모시고 있던 회남절도사 고변高騈을 위해 쓴 여러 재사齋詞들이 남아 있다. 고변은 도교를 무척 좋아하여 주변에 도사들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그가 몰락한 것도 도교에 탐닉하였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

 

최치원은 당나라에서 16년을 살다가 28세의 나이로 귀국하였다. 그는 신라에 온 후 우리나라에도 도교와 비슷한 사상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우리나라에 현묘한 도가 옛적부터 있었고 이를 풍류風流라 한다면서 유불선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의 말에 따르면 당시 《선사仙史》라는 책이 있었는데 거기에 풍류의 원천에 대한 서술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었다고 한다.

 

《선사》는 지금은 전해지지 않아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풍류의 자세한 내용을 알지 못한다. 그러나 풍류가 백성을 교화하는 도로서 충효와 겸손, 선행을 가르쳤던 것은 분명하니 풍류는 결코 현실도피적인 사상은 아니었다. 신라가 풍류를 화랑도의 조직이념으로 삼은 것은 풍류의 그러한 현세적 성격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최치원이 말한 것과는 달리 한국의 선도가 중국 도교에서 연원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17세기 초 한무외라는 사람이 지은 《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이 그러한 주장을 담고 있는데 19세기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도 이러한 주장이 그대로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주장에 의하면 신라 말의 김가기, 최승우, 그리고 승려 자혜가 중국도교 8대선인 가운데 으뜸가는 인물이었던 종리권鍾離權으로부터 도를 배웠으며 그 가운데 최승우는 그 도를 최치원에게 전했고 이 도는 조선 중기의 한무외, 남궁두 등에게까지 전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치원 자신은 중국의 도교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었으나 이러한 도의 전수에 대한 언급은 최치원의 저술들에서 찾아볼 수 없다. 《해동전도록》의 전반적인 서술이 객관적인 서술이라고 보기는 힘든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그 기록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망설여진다. 이 책은 후대의 조선 단학파들이 자신들의 연원을 중국 도교와 연관을 짓기 위해 만든 문헌이라 하기 때문이다.

 

《해동전도록》과 비슷한 시기인 조선 중기에 편찬된 도가서 《청학집》에는 그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선도는 환인으로부터 내려온 것으로 환웅과 단군을 거쳐 후대에 전해졌다고 한다. 우리나라 선도는 후일 여러 파로 갈라졌는데 이러한 선파의 하나가 물계자勿稽子 파였다.

 

물계자는 3세기 초의 인물로 신라가 포상팔국과 치른 전쟁에서 공을 세운 사람이었지만 전공을 인정받지 못해 불만을 가졌던지 산으로 들어가 나오지 않았다. (《삼국사기》 물계자전) 《청학집》에 의하면 진평왕 때의 선인인 대세와 구칠, 그리고 후대의 불교승려 도선과 원효 모두 물계자의 유파였다고 한다. 그리고 최치원 역시 이 유파에 속하는 인물이었다.

 

━━━━⊱⋆⊰━━━━

 

조선의 선도가 한국 고유의 사상이었다는 것은 고려 시대의 기록들에서도 확인된다. 고려 중기의 시인 이규보는 우리나라의 선풍仙風은 중국의 주나라나 한나라, 그리고 가까이는 당나라와 송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한국 고유의 것이라 하였다.

 

최치원은 귀국해서는 신라 조정의 명을 받들어 여러 가지 문한을 작성하는 일을 하였다. 894년에는 진성여왕에게 신라의 정치와 사회를 개혁하기 위한 10조의 개혁안을 올렸지만 정적들의 견제로 실현되지 못하여 그는 지방 태수직으로 밀려났다. 여러 군의 태수를 역임하던 그는 수년 뒤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가솔을 이끌고 가야산 해인사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책과 자연을 벗하고 살았는데 민간에 전해지는 전설에 의하면 그는 그곳에서 신선이 되어 승천하였다고 한다.

 

고운은 신선이 되기 위해 수련을 하였는데 어떠한 수련을 하였을까?

도교문헌을 연구한 조선시대 학자 이규경에 의하면 최치원은 중국에서 수련법을 배워왔으나 귀국해서는 잊어버려 그의 외삼촌인 현준으로부터 새로운 수련법을 배웠다고 한다.(《五洲衍文長箋散稿》 2권 경사편, 도장류) 그 수련법을 ‘가야보인법伽倻步引法’이라 하였는데 정확히 어떠한 수련법인지는 모르나 그 이름으로 짐작하건대 가야산 일대에서 도를 닦던 사람들 사이에서 내려오던 고유한 수련법이 아닌가 싶다. 최치원은 당나라에 들어가 중국의 유교와 불교, 도교를 배웠지만 신라에 돌아와서는 우리 고유의 선도를 접하고 그 수련법을 배웠던 것이다.

 

뜻과는 달리 흘러가는 신라의 정치에 관여하기를 포기하고 그는 가야산으로 들어가 신선 같은 삶을 살았다. 당시 신라는 중앙의 권력이 붕괴되고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정치적 혼란이 극심한 상태였다. 이러한 혼란의 시기에 그는 전국의 명승지를 떠돌며 자연을 벗삼아 시를 짓고 신선과 같은 삶을 살았다. 지금도 가야산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곳곳에 그의 행각에 대한 전설이 많이 남아 있다. 가야산 해인사 입구의 홍류동 계곡 바위에 그가 지은 시가 새겨져 있다. 

 

가야산 독서당에 부침(題伽倻山讀書堂)

바위 사이로 우르르 콸콸 온 산을 포효하니 지척의 사람 말도 못 알아듣겠네. 이러쿵저러쿵 시비 따지는 소리 들릴까 봐서 일부러 물소리로 산을 둘렀네.   

 

 

증산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생존의 비밀, 한민족과 증산도, 천지성공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께 생존의 비밀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