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B 상생방송★┼─ :: '금산사' 태그의 글 목록

천년의 약속 (4) -진표율사,금산사, 동국이상국집

 

 

상생문화연구소 노종상

 
 
제3장 용의 아들

 

 

차량은 두 대로 움직였다. 나와 미륵팀 총무 정지원이 탄 SUV 차량은 김현 교수가 운전하였다. 아니, 미륵팀이 김교수의 차에 신세를 지고 있었다. 서울대 사학과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친 김교수는 전공이 서양사였다. 그는 내가 어느 역사 답사−말이 역사답사이지 내 입장만 보면 불교 성지순례라고 하는 편이 더 어울린다고 할 수 있었다. 그래도 ‘답사’라고 하자−를 간다고 동행의사를 물어보면 단 한 번도 거절한 일이 없었다.

 

내가 불학을 전공하고 그는 사학을 전공하였으므로 답사에 관한 한 어느 정도 공통점이 있기는 하였다. 그러나 좀 더 엄밀하게 분류해 보면 그는 서양사 전공자이므로 학문적으로 불교 유적지와는 무관하다고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번도 거절하는 법이 없이 동행하는 것을 보면, 넓은 의미로 사학의 범위에 든다거나, 마음이 바다만큼이나 넓은 호인이거나, 차마 남의 청을 거절 하지 못하는 위인이거나, 사주팔자에 역마살이 많아서 집 밖을 나다니기 좋아하거나, 뭐, 그런 경우 중의 어디에 속하는 사람으로 추측되었다.

 

어디까지나 그것은 추측이고,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있다. 그를 알게 된 지는 10년이 훌쩍 지났으나 화를 내는 것은 한 번도 보지 않았다는 점이다. 내 생각이지만, 그렇게 보면 그가 호인인 것은 분명하였다. 하긴, 사람은, 모른다. 죽을 때까지 가 봐야 아는 것.

 

우리는 참 많은 곳을 답사한 것 같다. 경주 남산을 비롯하여 화순 운주사와 민불, 남해 보리암, 서산 마애여래삼존상, 익산 미륵사, 양주 회암사, 파주 용미리 쌍미륵불…. 뿐만 아니라 일본 교토, 인도 불교 유적지까지도 같이 다녔다. 답사한 곳들을 생각해 보니까, 십중팔구는 불교 유적지인 것이, 아무래도 내 의지가 많이 반영되었던 것 같다. 김교수는, 나한테, 그렇게, 사람 좋기로, 두 번째 가라면 서러워할 위인이었다.

 

국내 답사를 갈 때면, 차가 SUV인 탓도 있지만, 김교수가 주로 운전하였다. 종일 운전을 하다가 지칠 때면, 도로변에 차를 세워두고 잠시 잠을 청하는 일이 있어도, 그는 단 한 번도 운전대를 나에게 넘겨준 일이 없었다. 나이 탓도 없지는 않았을 터였다. 생물학적으로 내가 그보다 다섯 살이 위니까, 어쩌면 선배 대접을 해주는지도 모를 일이었다.

 

💬“김교수. 요즘 답답하지 않아요?”

며칠 전 나는 그의 연구실로 밀고 들어가서 차를 마시는 도중에 은근히 떠보았다.

 

“어디 답사할 곳이 생겼나 보죠?”

그는 이미 눈치를 챘다는 듯 물었다.

 

💬“예. 내가, 요즘, 누군가에게 꽂혔어요.”

 

“누굽니까, 마교수님의 그 열정을 앗아간 분이?”

 

💬진표율사요!

 

”아. 그분요.“

 

💬“잘 압니까?”

 

“아니요. 조금은 알지요.”

 

💬“내가 또 문자를 씁니다. 역사가 앞에서. 허허.”

 

“역사는. 나야 뭐 서양사 전공인데.”

 

💬“어. 김교수. 축구공만 한 지구를 놓고 서양사는 뭐고 동양사는 뭡니까. 그냥 사학이지. 허허허.”

 

“그런가요. 좋을 대로 생각하면, 되겠지요. 하하.”

 

우리는 한 바탕 웃었다. 웃는 동안 나는 그의 연구실을 둘러보았다. 학문적 호기심이 남다른 김교수의 책장에는 동서양을 가리지 않았다. 한국 고대사, 신화, 심지어 언어학책도 많이 보였다. 그가 언어학에 관심이 많고 히브리어까지 공부한다는 것을 모르지 않았으므로 그럴 줄 알았다는 듯 나는 고개를 끄덕이며 입가에 미소를 지우지 않았다.

 

그러고 보니까 국내 답사를 자주 다녔으므로 나는 가끔 그가 서양사 전공이라는 사실을 잊곤 하였다. 그런 망각을 나는 애써 말이 되는지 안되는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에둘러 꾸며대서 웃음으로 덮곤 하였다. 내가 주변을 얼쩡거리자 그는 배부른 고릴라처럼 여유롭게 웃었다. 말이 나왔으니까 말이지만, 그의 별명은 ‘고릴라’였다. 그 고릴라를 내가 먼저 붙였는지 아니면 다른 누군가가 붙였는지 지금은 생각나지 않았다. 

 

잠시 후 그는 내 앞에 놓인 빈 찻잔에 보이차를 따라 주면서 중단되었던 얘기를 꺼내 들었다. 

“어딘가요, 진표율사라면, 금산사인가요? 어. 그러고 보니까, 금산사는 마교수님과도 인연이 깊지 않습니까.”

 

💬“뭐, 그렇긴 하지요. 잊어버렸던 인연이지만.”

 

“잊어버린 인연이라.”

 

💬“아니, 잊어버린 것이 아니라 잊어버렸던, 잊어버리고 싶었던 인연이라고 할까.”

 

“감회가 깊겠군요. 알겠습니다. 금산사라면, 나도 가보고 싶습니다.”

 

💬“아니요. 김교수. 금산사는 며칠 전에 다녀왔어요. 금산사가 아니고, 그 옆에, 행정구역으로는 같은 김제시 지역이지만, 그 옆에 만경읍입니다.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읍이라구요! 좋아요. 가는 길에 벽골제, 김제 금산사도 함께 답사하지요. 그래야 징게 맹경 외에밋들을 다 밟는 거 아닌가요!”

김교수는 벌써부터 신이 나는가 보았다.

 

💬“뭐. 그러지요. 징게 맹경 외에밋들을, 답사해 보지요. 허허.”

 

전라북도 김제를 얘기할 때 떠오르는 대표적인 표현이 ‘징게 맹경 외에밋들’이다. ‘징게 맹경’은 김제와 만경을, ‘외에밋들’은 넓은 들녘을 가리킨다. 김제평야와 만경평야는 우리나라 최대의 평야로서 한반도에서는 유일하게 지평선을 볼 수 있는 호남평야를 이루는 들판이다. 삼한 시대에, 바로 그곳에 물을 대기 위해 조성한 저수지가 벽골제다. 우리나라 최대의 고대 저수지이자 제천 의림지, 밀양 수산제와 더불어 삼한 시대 3대 수리 시설로 꼽힌다.

 

“그런데 왜 진표율사에 꽂힌 분이, 만경에 가는 건가요?” 

김교수가 불쑥 물었다.

 

💬“무작정 가는 겁니다. 진표율사 출생지가 기록마다 달라요. 진표율사에 대한 기록이, 이게 아주 문제야.”

나는 들고 온 책 한 권과 함께 복사물을 김교수에게 건네주었다. 『진표, 미륵 오시는 길을 닦다』(이하 『진표』로 줄임)라는 책과, 복사물은 내가 금산사를 다녀온 뒤부터 수집한 진표율사 관련 문헌자료였다.

 

💬“참고하라고 드립니다. 조사해 보니까, 진표에 대한 전기자료는 몇 가지가 전해지고 있어요. 최초의 기록은 중국기록으로 『송고승전』이에요. 거기에 수록된 「진표전」과 함께 원나라 사람 담악(曇噩)이 찬술한 『신수과분육학승전(新修科分六學僧傳)』의 「진표전」 그리고 명나라 태종 성조(成祖)가 지은 『신승전』 권7 「진표」 등이 있어요. 국내 기록으로는 일연이 쓴 『삼국유사』 권4 제5 「진표전간」과 「관동풍악발연수석기」(이하 「석기」로 줄임)가 대표적입디다.

 

💬전기는 아니지만 고려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있는 「남행월일기」도 진표의 행적에 대한 일부를 제공하고 있어요. 그리고, 현재 시중에 진표율사 관련 책은 이 『진표』가 유일합니다. 여기에, 비교적 상세하게 정리했으니까 한 번 보도록 하구.”

 

나는 자리에서 일어나 김교수의 연구실을 나왔다. 학구열이라면 두 번째 가라면 서러워할 정도인 김교수는 연구실을 나서는 나는 쳐다보지도 않고 방금 내가 전해준 책 『진표』를 뒤지기 시작했다. 나는 그럴 줄 알았다는 듯 빙긋 미소를 지으며 내 연구실로 돌아왔다. 

『진표』에는 진표율사의 전기적 생애에 관한 문헌자료를 이렇게 정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기록인 『신수과분육학승전』의 「진표전」은 『송고승전』의 「진표전」을 거의 그대로 옮겨 실었다. 『신승전』의 「진표」 역시 마찬가지다. 『송고승전』 「진표전」의 첫머리에 있는 출가 동기에 대한 부분과 끝부분의 금산사 조성에 관한 부분만 제외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중국기록으로서 전표 전기는 『송고승전』의 「진표전」 한 편으로 귀착된다. … 국내 기록으로서 진표의 전기 두 편이 『삼국유사』에 앞뒤로 실려 있는 것이 시선을 끈다.

 

「진표전간」은 물론 일연이 기록한 것이다. 같은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것이라고 해도 「석기」는 기록자가 다르다. 「석기」는 1199년 금강산 발연사 주지 영잠(瑩岑)이 기록한 「관동풍악산발연수진표율사진신골장입석비명(關東楓岳鉢淵藪眞表律師眞身骨藏立石碑銘)」을 일연의 제자 무극無極(1250~1322)이 정리, 수록한 것이다. 「석기」 말미에 “이 기록[『삼국유사』]에 실린 진표율사의 사적[「진표전간」]과 발연사 비석의 기록은 서로 다른 데가 있다. 때문에 영잠의 기록만을 추려서 실었으니 후세의 현자들이 당연히 잘 살피기 바란다. 무극이 기록한다.”고 덧붙여 놓았다.

 

「남행월일기」는 전주목 사록겸서기(史錄兼書記)에 보임된 이규보가 1199년 9월부터 이듬해 12월까지 1년 4개월여 기간 동안의 외직생활을 통해 얻은 견문을 토대로 1201년에 정리한 일종의 기행수필이다. 당대 최고의 문인 이규보는 전주목 주변을 두로 다니면서 보고 듣고 느낀 바를 기록했는데, 여기에 진표에 관한 기록이 들어있는 것이다. 영잠의 「비명」과 같은 해에 쓰였다. 현재 전하는 진표에 관한 국내 기록으로는 「석기」와 함께 최초의 기록이다. 기행수필이므로 진표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전기는 아니지만 진표의 수행에 관해서는 매우 유용한 자료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전하는 진표에 대한 대표적인 전기는 「진표전간」, 「석기」 그리고 「진표전」 등 3종이 있다. 이들 중 「진표전」이 가장 오래 되었다. 그러나 「진표전」은 중국기록으로서의 한계가 있다. 진표와 전기 찬술자들의 사망연대를 기준으로 「진표전」은 진표 사후 약 230년 뒤에, 「비명」(「석기」)은 약 435년 뒤에, 그리고 「진표전간」은 525년 뒤에 기록되었다.

 

전기물의 평가 대상이 ‘사실성’ 여부에 좌우되는 것은 아니라고 해도, 또한 전혀 무시할 수는 없다. 굳이 사실성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진표와의 시간적 거리와 공간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기물로서의 ‘가치’가 커질 것이다.

 

이 경우 시간적 거리는 「진표전」 〉 「비명」 「석기」 〉 「진표전간」이 되고, 공간적 거리는 「석기」=「진표전간」 〉 「진표전」이 된다.

 

그러나 시간적 거리에서 「석기」의 경우, 원래 영잠에 의해 집필된 「비명」은 「진표전간」보다 앞서지만, 무극에 의해 정리·편찬된 「석기」는 「진표전간」보다 늦다. 스승 일연이 쓴 「진표전간」을 보고 「비명」과 다른 곳이 있어서 제자 무극이 다시 정리하여 「석기」라는 제목으로 「진표전간」 뒤쪽에 수록한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들 3종의 전기가 진표의 행적에 대한 연대를 각각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인 것은 논의과정에서 검토하겠으나 적게는 10년, 많게는 20년 정도의 차이가 난다. 따라서 진표의 생애에 대한 접근은 이들 3종의 전기에 대한 종합, 비교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

 

4️⃣

 

진표율사의 출생지에 대한 답사를 떠나기 며칠 전, 미륵팀은 대전 시내의 한 카페에서 모임을 가졌다. 대전천변에 위치한 카페는 보문산 전망대가 한 눈에 올려다 보이는 곳이었다. 임시수업 겸 그동안 각자 준비한 내용들을 점검해 보자는 의도였다. 총무인 정지원이 미리 준비해 온 자료를 팀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진표율사의 생애에 관한 문헌자료였다. 

 

중 진표는 완산주(完山州)(지금의 전주목이다) 만경현(萬頃縣)(혹은 두내산현豆乃山縣 또는 나산현那山縣)이라고도 한다. 지금의 만경의 옛 이름이 두내산현이다. 「관녕전(貫寧傳)」에서는 진표의 고향을 ‘금산현(金山縣) 사람’이라 하였으나, 이는 절 이름과 현 이름을 혼동한 것이다) 사람이다. 아버지는 진내말(眞乃末)이요, 어머니는 길보랑(吉寶娘)이며 성은 정씨(井氏)이다.  (「진표전간」)

 

진표율사는 전주 벽골군(碧骨郡) 도나산촌(都那山村) 대정리(大井里) 사람이다. (「석기」) 

 

그[진표]의 고향은 금산(金山)에 있다. 대대로 사냥을 하며 살았다. 진표는 날쌔고 민첩하였다. 특히 활을 잘 쏘았다. (「진표전」) 

 

“진표에 대한 3종 전기를 검토할 때 가장 먼저 부딪치게 되는 문제는 출생연도와 함께 출생지, 그리고 활동연대가 자료마다 각기 다르다는 점인데요. 중국기록인 「진표전」은 물론이고 『삼국유사』에 앞뒤로 나란히 실려 있는 「진표전간」·「석기」조차도 기록되어 있는 연대가 다르기는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후자는 두 편 모두 어느 정도의 연대가 기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달라서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는 측면이 없지 않아요. 현재로서는 서로 다른 연대의 옳고 그름을 가릴 수 있는 방계자료도 찾아볼 수도 없구요. 진표의 행적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는 전제 아래에 3종의 전기를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미리 말씀 드려요.”

 

정지원이 설명했다. 나는 말없이 지원을 보았다. 짧은 시간에 참 열심히 준비하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입시학원 영어강사이기도 한 그가 언제 시간을 내서 이토록 철저하게 준비했는지 놀랍고 미안하기까지 하였다. 과연 나도 이미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였으나 그녀의 설명대로 진표의 출생연대는 물론 출생지, 활동연대도 정확하지 않았다. 일단 출생지와 출생연도를 확인하면 활동연대는 자연스럽게 확인이 될 터였다.

 

먼저 출생연대의 경우, 정지원이 지적한 것과 같이 3종의 진표 전기에 나타나는 연대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나는 이미 판단하고 있었다. 어느 정도 활동연대가 확정되면, 거기에서 출생 연도를 유추하는 것이었다. 이 경우, 연구논저 『진표』가 퍽 도움이 되었다. 이 책에는 진표의 생애에 관한 대표적인 3종의 진표 전기를 중심으로 연대를 정리해 놓았다. 

 

먼저 「진표전」을 보자. 이 전기에서 나타나는 연대는 출가연도뿐이다. 그것도 “개원중 (중략) 출가의 뜻을 품었다(當開元中 [中略] 因發意出家).”고 하여 정확한 연도를 알 수 없다. 개원연간(713-742)은 신라 33대 성덕왕( ? ~ 737) 12년(713)부터 34대 효성왕(737~741)을 거쳐 35대 경덕왕 1년(742)까지 30년에 해당하는 기간이다. 결국 이 전기의 연대 기록만으로 진표의 출가연도를 알기는 어렵다.

 

「진표전간」의 사정은 조금 나은 편이다. 이 전기에는 진표가 선계산 부사의암에서 14일 동안 수행을 하다가 지장보살을 친견하고 정계(淨戒)를 받은 것이 23세 때, 개원 28년 경진년(740, 효성왕 4)이라고 했다. 그 후에 아슬라주(阿瑟羅州)에 이르러 어별들 위해 설법하고 계를 준 것이 천보(天寶) 11년 임진년(752, 경덕왕 11)이다.

 

「석기」에 따르면 진표가 변산 부사의암에 들어간 것이 27세 때인 상원(上元) 원년 경자년(760, 경덕왕19), 그로부터 3년 뒤인 임인년(762, 경덕왕 21)에 지장·미륵 두 보살로부터 계법을 얻었다.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진표전간」에 따르면 진표가 지장보살로부터 계를 받은 것은 23세 때, 740년이구요. 12세 때 출가했다고 했으므로 출가연도는 729년, 출생연도는 717년이 돼요. 「석기」 역시 같은 방식으로 정리할 수 있겠죠. 변산 부사의방으로 들어가던 해가 27세 때인 760년이므로 출가하던 12세 때는 745년, 다시 출생연도는 733년이 됩니다. 문제는 두 전기 「진표전간」과 「석기」 사이에 출생과 출가 연대 기록이 16년의 차이가 난다는 점이구요.”

 

나는 물론 미륵팀원들은 모두 정지원의 발언에 귀를 기울였다. 내용도 그렇지만, 그의 열정적인 모습에 모두 기가 죽었다는 표정들이다.

 

“연구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 가지 열쇠로서 진표의 출가 나이를 주목합니다. 「진표전간」과 「석기」에서 출가연도는 각기 다르지만 나이는 12세로 동일하게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죠. 물론 진표의 출가 연도기록―729년(「진표전간」), 745년(「석기」) 가운데 어느 것이 더 정확할지 알 수는 없답니다. 여기서 또 하나의 열쇠가 추가될 수 있다고 봅니다. 「진표전」의 출가연도인 개원연간(713~741)이 그것이다.

 

이 출가연대와 앞의 두 전기에서 기록하고 있는 출가연도가 합쳐지는 것이 「진표전간」의 729년이랍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진표전간」의 연대를 기준으로 잡는 이유이기도 해요. 이에 따르면 진표는 성덕왕대에 출생하여 효성왕대에 출가하여 경덕왕대를 중심으로 혜공왕대에 이르기까지 크게 교화를 떨치다가 입적하였다는 결론이 내려지구요.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추정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도 유의해야 하답니다.”

 

정지원이 발표를 마치자 나는,

💬“좋아. 아주 고생이 많았어.”

격려하였다. 

 

💬“다음 주제는 뭔가? 응. 진표의 가계와 출생지로군.”

 

“예. 한상수 동학님이 발표할 겁니다.”

 

💬“그런가!”

 

나는 정지원 옆에 앉아 있는 한상수 학생에게 눈길을 가져갔다. 박사 1학기인 그는 희끗희끗한 백발에 노익장인 듯싶지만 피부에 윤기가 났다. 겉으로 보기에는 50대 중, 후반의 장년 정도로 보였으나 공무원 정년퇴직을 하고 가는 세월이 아까워서 한류대 대학원에 진학했다고 포부를 밝힌 노신사였으나, 그는 수행에도 관심이 많아서 미얀마의 양곤(Yangon)에 있는 마하시명상센터(Mahawi Sasana Yeiktha Meditaion Centre)에 가서 한 달 동안 위빠사나 수행을 하고 올 정도로 멋진 노년을 보내는 늦깎이 학생이었다. 

  

━━━━⊱⋆⊰━━━━

 

5️⃣

 

한상수가 『진표』를 중심으로 준비해 온 진표율사의 가계는 이러하였다.

진표의 아버지는 진내말, 어머니 길보랑 정씨라고 했다. ‘진내말’은 내마(奈末) 또는 나마(柰麻)인 신라의 11등급 관직명에 성씨인 ‘진’을 앞에 붙인 것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의 제3대 왕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재위 24∼57) 9년에 17등급의 관위를 설치하였다. 법흥왕 7년(520) 율령 공포 때에 제정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17관등 중에 1관등 이벌찬에서 5관등 대아찬까지는 진골만이 받을 수 있다. 11관등은 나마라 하여 중나마(重奈麻)부터 칠중나마(七重奈麻)까지 두었다.

 

오늘날 한국의 성씨에는 보이지 않는 진씨는 백제의 대표적인 여덟 귀족 성씨―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 가운데 하나였다. 백제의 대성팔족은 ‘8개의 큰 성씨’라는 뜻으로 백제 후기의 대표적인 귀족가문 8개를 아울러 가리키는 말이다. ‘대성팔족’은 『수서』 등을 비롯한 중국 역사서의 “[백제] 나라 안에 큰 성씨로서 8개 집안이 있으니(國中大姓有八族)…”라는 문장에서 비롯된 말이며, 『삼국사기』 등 국내 역사서에는 나오지 않는다. 백제의 대성팔족에 대해 기록한 중국역사서는 『수서』, 『북사』, 『신당서』, 『통전』 그리고 「괄지지」를 인용한 『한원(翰苑)』 등이다. 8개 성씨에 대한 내용이 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삼국사기』 등의 국내기록에는 진씨와 백씨가 자주 나온다.

 

말하자면 진표율사의 집안은 신라 5두품 계급에 속하는 유력가문이었다. 5두품은 신라시대 골품제도 중 하나의 신분계급으로서 성골·진골·6두품 다음의 계급이다. 밑으로 4두품이 있었다. 원래 신라의 골품제에 포함되는 자는 왕경인(王京人)에 한하는 것이었고, 5두품은 중앙관직에 임명되므로 지배자집단에 속하는 계급이었다.

 

『삼국사기』는 진촌주(眞村主)를 5두품과, 차촌주(次村主)를 4두품과 동일하게 파악하고 있다. 진촌주와 차촌주가 어떤 신분에 속하는지 분명하지 않으나 촌주는 촌락의 장이었으며 여러 개의 촌을 다스리고 있었다. 5두품은 제10관등인 대나마까지 오를 수 있었다. 다만, 대나마에서 더 관등을 올려야 할 경우 중대나마에서 9중대나마까지 중위(重位)를 내려주었으며, 제9관등인 급벌찬 이상으로는 승진시키지는 않았다.

 

따라서 진표는 한 고을을 장악하고 있는 유력한 지방호족 출신이라고 할 수 있다. 『신라 법상종 연구』라는 논문에 따르면 ‘내마’는 신라가 백제를 멸망시킨 후 백제귀족에게 관직을 나누어줄 때 3등급인 은솔(恩率)을 강등하여 수여한 관직명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 경우 진표는 옛 귀족가문이지만 백제멸망 후 신라에서도 우대를 받았던 가문 출신이라고 할 수 있다. 

 

“진표의 출생지에 대해서도 3종의 전기가 일치하지 않다는 것은 정지원 총무가 나눠준 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다들 자료를 보면서 토론을 이어 나가도록 합시다. 먼저 「진표전간」에서는 진표의 출생지가 완산주 만경현라고 했는데, ‘만경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주석을 붙였어요. ‘혹은 두내산현이라 하고 혹은 나산현이라고도 하는데 지금 만경의 옛 이름이 두내산현’이다. 그리고, 「석기」에는⋯.”

 

한상수는 뒷자리에 앉아있는 나를 흘끔 본 뒤에 다시 굵고 침착한 어조로 발표를 이어 나갔다. 이어지는 그의 발표를 요약하면 이러하였다.

 

「석기」에는 진표율사가 전주 벽골군 도나산촌 대정리 사람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진표가 완산주 두내산현 도방산촌 대정리, 오늘날의 전북 김제시 만경읍 대정리에서 출생하였다는데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다만 『동국여지승람』 ‘만경현’조에 “본시 백제 두내산현豆乃山縣인데 신라 때 지금 이름으로 고쳐서 김제군의 영현領縣으로 만들었다.”고 하였으므로 「석기」의 ‘도나산촌’이 아니라 ‘도나산현’이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그런데 말예요. 여기에는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돼요. 현재 학계에서 주장하고 있는 진표의 출생지에 대한 전북 김제시 만경읍 대정리 설은 두 진표 전기를 논의의 편의에 따라서 비빔밥처럼 잘 버무린 결과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지요. 완산주는 지금의 전주를 가리킵니다. 『동국여지승람』 ‘전주부’ 조에 따르면 본래 백제의 완산이며 신라 진흥왕 때 완산주를 둔 이후에 부침을 거듭하다가 조선 태종 때 전주부로 고쳤어요. 같은 책 ‘김제군’ 조에는 ‘본래 백제의 벽골군인데 신라 때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전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인종 21년에 현령을 두었다’고 했어요. 지금 제시한 검증자료에 따르면 학계의 결론은 어느 정도 수긍이 가긴 해요.

 

그렇지만, 문제가 남아 있어요. 『삼국사기』에 따르면 오늘날 김제지역의 지명은 원래 벽골(또는 소골疎骨), 두내산(豆乃山, 흑은 두내지豆奈知), 수동산(首冬山), 무근촌(武斤村), 야서이(也西伊) 등 여러 가지 지명들이 변천을 거듭해 왔어요. 그러다가 757년 벽골이 김제로 개칭되었고 두내산은 만경으로 개칭되었어요. 또한 수동산은 평고(平睾)로, 무근촌은 무읍(武邑)으로 각각 개칭되어 모두 김제군의 속현이 되었거든요. 따라서 벽골=김제, 두내산=만경은 각기 다른 지명인데 위의 두 진표 전기에는 같은 행정구역으로 기록하였고, 현재 학계에서는 진표의 출생지를 전북 김제시 만경읍 대정리 설로 마치 전주비빔밥처럼 얼버무려 놓았단 말입니다.”

 

“⋯.”

 

자료를 들이대고 평소와는 다른 모습으로 냉정하게 비판하는 한상수의 결론에 미륵팀원들은 모두가 할 말을 잃어버린 듯 입을 열지 않았다. 분위기는 이미 무거워졌다. 

 

💬“예. 발표 잘 들었어요. 수고했습니다. 진표율사의 출생지가 현 학계에서 주장하는 만경읍 대정리 설이 과연 전주비빔밥처럼 얼버무린 것인지 아닌지 결론은⋯.”

내가 상체를 앞으로 당기면서 말했다. 

 

💬“현장에 가서 확인하는 것이 어떨까요? 비록 1천여 년이 지났으나 현장은 기록에서 발견하지 못한 이야기들을 들려줄 지도 모르니까. 현장에 간다고 해도, 지명이라는 것이 있다가도 없어질 수도 있겠지만.”

 

토론 결과, 이번 답사가 결정되었다.

세종 시내를 벗어난 차는 대전-당진 고속도로의 짧은 구간을 지나 곧장 호남고속도로로 꺽어들었다. 운전하는 내내 김현 교수는 말이 없었다. 이따금 창밖을 흘끔거리는 정지원도 조용하다. 뒷좌석에 앉아 있는 나는 진표율사의 전기 자료를 검토하였다. 

차는 여산 휴게소 앞을 지나고 있었다. 차창 밖으로 너른 들판이 달려왔다. 그 너머로 흰 구름이 둥실 떠 있었다. 

 

 

생존의 비밀, 한민족과 증산도, 천지성공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께 생존의 비밀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

[장편소설] 천년의 약속 (2)

 

 

상생문화연구소 노종상

 
 
제2장 출가

 

 

━━━━⊱⋆⊰━━━━

 

1)

 

💬 “이럇. 이랴 아―.”

 

왼손으로 갈기를 움켜쥔 채 오른손으로 채찍을 휘두르며 말을 모는 목소리가 청아하다. 달리는 동물은 말이라기보다는 당나귀에 가까울 정도로 작은 체구이다. 그러나 안장에 앉아있는 주인과 비교하면 그런대로 격이 맞았다. 온통 검은 털의 흑마이다. 작은 체구에도 흑마는 용맹스럽게 생겼다. 

 

다각다각―. 

 

흑마는 전속력으로 달렸다. 짧은 다리로 아무리 달린다고 해도 속도는 나지 않았다. 그래도 말 주인은 신이 났다.

 

늦가을 바람이 상쾌하다. 

구름 한 점 없이 맑고 푸른 하늘이다. 

해는 중천에서 한참 기울었다.

 

- “표야. 천천히 달려라. 조심해야지.”

 

훌쩍 큰 백마를 타고 달리는 아버지는 열한 살 아직 어린아이인 아들 진표가 말을 모는 것이 퍽 대견스럽지만 또한 걱정스러운 듯 눈을 떼지 못한다. 백마는 흑마에 비해 속력을 내어 달리지 않았으나 거의 같은 속도를 유지하였다. 백마가 한 걸음을 뛴다면 흑마는 서너 걸음을 뛰어야 속도가 맞을 정도였다. 뚜벅뚜벅 관절 부분을 꺾어 가면서 절도 있게 걸어가는 백마는 보기만 해도 눈이 부시다. 

 

💬 “괜찮아요. 아버지.”

 

진표는 갈기 잡은 손을 놓고 안장에 반듯하게 앉아서 고삐 줄을 빙글빙글 돌렸다. 

 

- “허어. 인석아. 조심해야지. 딴짓하다가 또.”

 

아버지는 더 이상 말을 짓지 못한다. 진표가 처음 말을 탔을 때 낙마했을 때의 일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진표도 이미 눈치를 챈 모양이다. 

 

💬 “아버지는. 그때는 어렸을 때잖아요.”

- “그럼. 지금은 컸느냐?”

 

💬 “그럼요. 내가, 열한 살이라구요. 근데, 아버지. 저기 저 산이 엄뫼지요?”

- “엄뫼지. 큰뫼라고도 하고.”

 

💬 “큰뫼라고요!” 진표는 눈을 송아지 눈처럼 부릅떴다. 새로운 사실을 알았을 때의 기쁨의 표현이다. 

 

모악산은 엄뫼라고도 불리고 큰뫼라고도 불렸다. 전하는 얘기로는 한자어로 쓸 때 엄뫼는 모악으로 바뀌었고, 큰뫼를 ‘큼’을 음역하여 ‘금金’로 하고 ‘뫼’는 의역하여 ‘산’으로 하여 금산金山이라 바뀌었다고 하였다. 엄뫼와 모악은 어머니 산이란 뜻이다. 산의 정상에 어머니가 어리니 아이를 안고 있는 형상으로 보이는 바위가 있어서 어머니 산이라는 뜻이 생겼다고 하였다.

 

💬 “전에 어머니랑 금산사에도 갔었는데, 좀 작고 초라했어요. 너무 작아요.” 진표는 어린 시절 금산사에 갔던 일이 떠올랐다. 

 

-“인석아. 부처님 도량이 크고 작고가 문제인 게냐.”

 

💬 “그래도요. 금산사가 그대로 이름난 절인데, 아쉬워요.”

-“허어. 그럼 이 다음에 네가 커서 불사 시주를 많이 하려무나. 큰 절로 불사를 해달라고 해.”

 

💬 “그럴까요. 참, 금산사 스님께서도 잘 계시겠지요?”

- “누구, 숭제崇濟 스님 말이냐?”

 

💬 “예. 전에 어머니가 불공드리러 갔을 때 가서 뵜어요. 그때 뵈니까, 꼭 아버지 같으시던 걸요.”

- “뭐야. 스님이 나 같았다고? 흠. 좋은 일이지. 그럼 좋고말고. 숭제스님이, 공부를 아주 많이 하신 분이니라. 자주 가서 뵙도록 해.”

 

💬 “아버진. 나 혼자 절에를 어떻게 가요. 난 열한 살이라고요.”

- “왜, 아니냐. 열한 살이면 다 컸다고 하지 않았느냐.”

 

💬 “참. 그땐 그때고요. 그러지 말고 오늘 금산사에 가면 되겠네요.”

- “안된다.”

💬 “왜요? 아버지.”

 

- “우린 지금 사냥 중이잖느냐. 부처님은 산목숨을 죽이지 말라고 하셨느니.”

💬 “알았어요. 아버지.”

 

진표는 이미 아버지의 얘기를 뒤로 하고 쏜살같이 말을 몰았다. 뒤에서 말고삐를 당기며 아들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입가에는 엷은 미소가 번졌다. 아직 어리지만, 속내는 꽉 찼다는 든든함이 가슴에 차 올랐다.

 

- “내마奈麻(乃末, 奈末, 柰麻) 나으리. 좀 천천히 가야써것는 디요. 소인들은 도저히 못따라가겄구만이라 잉.”

 

뒤따르는 세 명의 사내들이 헉헉거리며 거친 숨을 몰아쉬었다. 중늙은이 한 명과 젊은 사내 그리고 진표 또래의 아이였다. 각자 등에 화살통 하나씩을 메고 있는 그들의 손에는 활과 화살이 들려 있는 몰이꾼들이었다.

 

내마는 신라의 11등급 관직명이다. 진내마는 진표의 아버지를 이름 대신 벼슬로 지칭하는 것이었다. 진내마 부자의 뒤를 따르는 몰이꾼들은 노비였다.

 

- “알았느니.” 인근에서 인품이 좋기로 소문난 진내마였다. “표야. 게 섰거라. 다른 사람도 생각해야지.”

💬 “아버지. 저기, 사슴이에요. 저놈을 잡아야 돼요.”

 

진표는 대답 대신 사슴을 쫓았다. 제법 큰 사슴이다. 진내마도 욕심이 동했는가 보았다. 부자는 약속이나 한 듯 사슴을 쫓았다. 그러나 사슴은 이내 울창한 숲속으로 사라졌다.

 

- “표야. 그만 됐다. 쉬어 가.” 

아버지가 아쉬움을 감추고 말했다. 

 

💬 “예, 아버지. 그러잖아도, 쉬었다 갈 참이에요.”

 

진표가 말에서 훌쩍 뛰어내린 곳은 숲으로 둘러싸인 개울가였다. 잠시 후 몰이꾼들이 헐떡거리며 도착했다. 

 

━━━━⊱⋆⊰━━━━

 

2)

 

개굴. 개굴―.

 

진표가 개구리 울음소리를 들은 것은 이마에 송골송골 맺힌 땀이 식을 즈음이었다. 처음에는 한 마리가 진표의 반응이라도 떠보겠다는 듯 개굴, 하고 울었고 뒤이어 저쪽에서 응답하는 듯 개굴, 하고 울었다. 잇따라 여기저기서 개구리가 개굴개굴, 울어댔다. 재미있다는 듯 물속을 바라만 보고 있던 진표는 입가에 씩 웃음을 지었다.

 

💬 “잡을 거야.”

그는 혼잣말처럼 말하고 물속으로 슬금슬금 들어갔다. 금방 개구리 한 마리를 잡았다. 그는 자랑스럽다는 듯 히죽거리며 일행을 보았다. 

 

💬 “팔용 아저씨. 이거 구워 먹으면 맛있겠어요.”

그는 중늙은이 노비 팔용을 보고 말했다. 

“….”

 

키가 작고 입술이 개구리처럼 두툼한 팔용은 진내마의 표정을 흘끔 살펴보았다. 며칠 전 노비들끼리 들에 나가서 일하다가 개구리를 잡아 구워 먹었을 때, 진표가 나타나 같이 먹었던 일이 있었다.

 

💬 “판돌아, 뭐해? 개구리를 잡아야지.”

 

팔용이 반응을 보이지 않자 진표는 노비 중에 가장 나이 어린 판돌에게 고함을 질렀다. 기다렸다는 듯 판돌이 물속으로 들어왔고, 뒤이어 중간 노비인 춘삼이도 합세하였다. 개구리는 지천이었다. 셋이서 잡았으므로 얼마 지나지 않아서 개구리는 금방 마릿수가 늘어났다.

 

💬 “팔용 아저씨. 이거 가져가요. 집에 가서 구워 먹게.”

- “알았구먼요, 도련님.”

 

팔용은 진내마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뒤탈에 대한 우려를 던져버리고 곧장 개울가로 가서 가늘고 긴 버드나무 가지를 툭툭 꺾어왔다. 그는 이로 물어뜯어 버드나무 껍질을 벗겨 꿰미를 만들었다. 개구리는 다섯 꿰미나 되었다. 줄잡아서 5, 60마리는 될 터였다. 개구리 꿰미를 받아서 든 진표는 의기양양한 표정으로 이리저리 흔들어 보였다. 제법 묵직하다.

 

- “저기, 사슴이구만이라 잉.”

춘삼이가 소리쳤다.

- “맞네. 내마 나리. 사슴이구만요.”

팔용이 진내마를 보고 굽신거렸다.

 

- “잡아라.”

진내마가 외쳤다. 일행은 후다닥 물속에서 뛰어나와 사슴을 쫓았다. 뒤에서 일행을 바라보던 진표는,

💬 “이건 어쩌라고!”

혼잣말로 말하고, 개구리 꿰미를 물속에 담갔다. 구운 개구리 뒷다리의 맛을 잊을 수가 없었다. 

 

💬 “사냥이 끝나면 가져가야지.”

 

그는 혼잣말로 말하면서 개구리 꿰미를 물속에 담그고 끝을 돌로 눌러 둔 뒤에 일어섰다. 그리고 말 위에 올라 사슴을 쫓았다. 그러나 숲속에서 말을 타고 사슴을 쫓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사슴은 마치 진내마 일행을 놀려 주기라도 하는 듯 거리가 좀 멀어졌다 싶으면 멈췄다가, 사냥꾼들이 가까이 다가오면 훌쩍훌쩍 숲속으로 줄행랑을 쳤다.

 

해는 이미 서산에 기울고 이내 어스름이 밀려왔다. 진내마 일행은 그날 사냥을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사슴을 쫓으면서 왔던 길이 아니라 산 북쪽으로 해서 집으로 돌아왔으므로 진표는 개울 물속에 담가둔 개구리 꿰미를 까마득히 잊어버렸다.

 

생존의 비밀, 한민족과 증산도, 천지성공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께 생존의 비밀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

진표율사와 김제 금산사 미륵불 이야기

 

 

 

김제 금산사에 가보신 분들이 많이 계실 것으로 생각되는데, 왜 금산사에 있는 미륵불은 시루위에 만들어진 걸까요?

오늘은 그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진표율사는 부사의방장에서 미륵불을 친견하리라 고 다짐을 하고, 수도를 시작했는데요. 

 

바로 망신참법이라는 수도법으로 수도를 하였습니다. 망신참법이란, 온몸을 돌로 찧는 수행법을 말하는데요. 생각만해도 아찔합니다만.. 그 정도의 굳은 마음가짐으로 진표율사는 수행을 하였다고 하네요. 

그렇게 수행을 하다보니 3일만에 팔과 손이 부려졌다고 합니다. 

 

이 수행일 21일이 끝난 그때에, 진표율사는 하늘의 도솔천에서 많은 백성들을 거느리고 오신 미륵님을 친견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때에 나타나신 미륵부처님께서 

잘하는구나, 대장부여! 이처럼 계를 구하다니 신명을 아끼지 않고 간절히 구해 참회하는구나.
내가 한손가락을 튕겨 수미산을 무너뜨릴 수 있으나 네 마음은 불퇴전이로다.

 

라고 크게 칭찬을 해주셨다고 합니다. 

 

그러시면서 밑없는 시루를 걸어두고 당신의 모습대로 불상을 세우라! 고 말씀해주셨다고 합니다. 

 

 

그러한 계시를 받고 진표율사가 세운 곳이 바로 김제 금산사의 미륵불입니다.

정말 놀라운 이야기이죠?

 

우주변화원리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증산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으신가요? 생존의 비밀, 한민족과 증산도, 천지성공 책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께 생존의 비밀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

금산사 미륵전은 왜 밑없는 시루 위에 세워졌을까ㅣ미륵님의 계시 그대로 불상을 조성한 진표율사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 금산사에 가보신 분들이 많으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금산사에 가면 미륵전에 미륵불이 있는데요. 미륵전이 밑없는 시루 위에 조성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왜 시루 위에 미륵전이 조성되었는지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미륵신앙이 대중화 되어 있었는데요. 미륵신앙에는 미륵상생신앙과 미륵하생신앙이 있습니다.미륵상생신앙은 도솔천에 계신 미륵을 믿어 사후 그곳에 왕생하기를 바라는 신앙이고 미륵하생신앙은 미륵불이 하생하여 모든 중생을 구제할 때 그 자리에 참여하기를 기원하는 신앙 입니다. 

 

 

금산사를 조성한 진표 대성사는 두가지 서원을 하였는데요. 첫째로 미륵불께서 용화세계를 여실 때 우리 강토에 강세하실 것을 기원하였고 둘째는 대환란의 천지개벽 시대에 자신을 큰 일꾼으로 써 주실 것을 기원하였습니다. 

미륵불께서는 진표 대성사에게 계시를 내려주셨는데요. "밑 없는 시루를 걸고 그 위에 미륵금상을 조상하라!" 고 하셨습니다. 

 

 

그리하여 금산사에 밑없는 시루 위에 미륵불이 조성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하필 시루였을까요? 그것에는 다 의미가 있습니다. 밑 없는 시루는 세상의 모든 곡식을 푹 쪄서 익혀 통일 성숙시키는 미륵불의 도법을 상징합니다. 

 

그리하여 상제님께서 도호를 시루증 , 뫼산 이라고 쓰신 것입니다. 선천 문화의 모든 법을 수렴하여 푸욱 찌고 익혀서 통일 완성 시키겠다는 가을의 추수정신을 담고 있습니다. 

화엄경과 미륵경을 보면 공통적으로 인류를 성숙시키고 열매를 맺게 된다는 결론이 나오게 됩니다. 상제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이유가 분명히 밝혀져 있는 것이죠. 

 

천지와 함께 성공하는 길, 증산도 진리를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북두협객 010-9659-9576 이 친절히 상담해드립니다. 증산도 태을주수행법, 증산도 진리 공부에 대해 깊이있게 알아보세요^^

★무료 소책자 신청 링크★ http://db.blueweb.co.kr/formmail/formmail.html?dataname=sunet3330

 

 

 

 

 

Posted by 북두협객
,